오피니언 사설

[사설] 갈등만 키운 3자회담, 국민은 안 보이나

아쉽다. 대치 정국의 분수령이라던 청와대와 여야 대표 3자회담이 끝내 아무런 합의도 도출하지 못하고 상호 불신과 입장 차이만 확인한 채 끝나고 말았다. 박근혜 대통령이 이날 야당의 국가정보원 정치개입에 대한 사과 요구를 거부하고 채동욱 검찰총장 감찰에 대한 당위성을 강조한 데 대해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대통령과의 담판을 통해 민주주의 회복을 기대하는 것은 무망하다”고 단언했다.


기대했던 바는 아니지만 예상보다 간극이 너무 컸다. 불행하게도 이제 갈 길은 정해져 보인다. 박 대통령과 여당은 국가정보원 자체 개혁과 채 총장 감찰을 강행할 것이고 야당은 민주주의 회복을 외치며 천막투쟁의 강도를 더욱 높일 게 뻔하다. 정치 정상화를 기대했던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불신은 더욱 깊어지게 생겼다. 국민에게 주겠다던 ‘희망’과 추석선물은 구두선에 그치고 말았다.

관련기사



문제는 경제다. 갈등만 키운 만남으로 각종 개혁입법과 경제 살리기와 같은 민생법안은 무한정 미뤄질 우려가 더욱 커졌다. 기업 투자의욕이 바닥을 기고 급증한 가계부채가 언제 시한폭탄처럼 터질지도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을 그저 바라만 봐야 하는 형국이다. 희미하게 회복 조짐을 보이던 경기가 다시 주저앉을까 걱정이 앞선다.

정치권은 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민주당은 도대체 언제까지 천막농성과 장외투쟁을 지속할 것인가. 입장을 전혀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나 이런 상황일수록 정치 정상화에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줬어야 했다. 청와대와 새누리당도 반성할 필요가 있다. 상대를 초청하고는 자신의 입장만 내세워 대화의 여지를 없애버리는 어리석음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모르겠다.

모처럼 마련된 정치권의 화합 기회가 사라짐으로 당장 피해를 볼 대상은 국민이다. 길게 보면 정치권도 마찬가지다. 정치에 대한 실망은 곧 성장잠재력의 잠식에 다름 아니다. 지지율이나 촛불에 모여드는 숫자에 취한 정치인을 이고 사는 국민만 불쌍하다. 정치권은 각성하고 끝장 토론이라도 벌여 정치를 정상화하고 국정안정과 민생에 나서라.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