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14학년도 고교 내신 절대평가로

'중등학교 학사관리안' 발표<br>석차등급 대신 성취도 표기, 특목·자사고 등에 유리<br>학교 서열화 고착화에 내신 부풀리기 재현 우려


오는 2014학년도부터 고교 내신제도가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뀐다. 교육현장에서는 자사고와 특목고에 유리한 제도로 학교 서열화가 고착화되고 내신 부풀리기가 재현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을 마련해 2012~2013학년도 시범 운영을 거쳐 2014학년도에 전면 시행할 계획이라고 13일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2014년도부터 고교 내신은 현행 9등급의 상대평가 방식에서 A-B-C-D-E-F의 6단계 절대평가 방식을 도입한다. 과목별로 정해진 성취기준에 따라 90% 이상은 A, 90% 미만~80% 이상은 B, 80% 미만~70% 이상은 C, 70% 미만~60% 이상은 D, 60% 미만~40% 이상은 E, 40% 미만은 F가 부여된다. 최하위 F를 받으면 해당과목을 재이수해야 하며 '재이수제'는 2013학년도에 시범운영한 뒤 2014학년도에 도입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성적 기재방식도 달라져 고교 학생부에는 석차등급 표기를 빼고 6단계 성취도를 적는다. 평가의 난이도, 점수 분포 등을 알 수 있도록 현행처럼 원점수와 과목평균ㆍ표준편차를 병기한다. 마이스터고ㆍ특성화고는 실습 비중이 높은 전문교과를 배우는 점을 감안해 내년 1학기부터 절대평가제를 바로 도입한다. 중학교 학생부는 '수ㆍ우ㆍ미ㆍ양ㆍ가' 표기 방식을 'A-B-C-D-E-F'로 바꾼다. 고교와 마찬가지로 석차를 삭제하고 원점수ㆍ과목평균ㆍ표준편차를 함께 적는다. 이번 방안에 대해 교원ㆍ학부모단체는 절대평가가 교육적으로 옳은 방향이지만 이로 인해 발생할 부작용에 대해 우려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절대평가를 도입하면 특목고ㆍ자사고 등 입시명문 고교가 유리해지고 상당한 특혜를 받게 된다"고 주장했다. 서울 A외고에 근무하는 한 교사는 "절대평가로 바뀌면 우수한 학생들이 모여 있는 자사고ㆍ특목고 학생들 대다수가 전교과목에서 A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사실상 내신의 영향력이 약해져 자사고ㆍ특목고 출신이 대학 입시에서 일반고에 비해 유리하다"고 말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한 관계자는 "부작용이 많았던 상대평가 체제를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방향은 옳다"면서도 "내신의 객관성 확보가 제도의 성패를 가른다는 점에서 '성적 부풀리기'가 없도록 엄정한 내신관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교과부는 '성적 부풀리기'를 막기 위해 성취도별 학생분포 비율을 정보 공시하도록 하고 관리 실태를 점검해 의심되는 학교는 감사 등을 통해 인사ㆍ행정상 불이익을 줄 방침이다. 교과부의 한 관계자는 "현재 대학에서 확대되는 입학사정관제는 특목고에 유리한 전형 요소(토익ㆍ토플 등)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특목고ㆍ자사고 학생이 일률적으로 유리해진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