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조평통 남북관계 복원 '화해 메시지'

7.4공동성명 30주년 맞아 "대화·협력관계로" 성명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4일 7ㆍ4 남북공동성명 발표 30주년을 맞아 발표한 성명에서 "북남 관계를 대결과 전쟁이 아니라 대화와 협력의 관계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서해 교전 사태로 한반도에 난기류가 형성 중인 가운데 북이 띄운 일종의 화해 메시지인 셈이다. ▶ 북의 진의는 북은 성명을 통해 서해 교전에 따른 파문이 확산되는 것을 원치 않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평통은 '북남 관계가 외세와 반통일 세력의 방해 책동으로 말미암아 일시 곡절을 겪고 있지만 전진하리라 확신한다'고 밝혀 남북 관계 복원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특히 서해 교전이후 나온 북한의 대남 비난 강도가 지난 99년 연평해전 때에 비해 훨씬 약하고 비난의 대상도 남한 정부 당국이 아닌 남한 군부와 미군으로 한정하고 있음을 볼 때 이는 좀더 분명해 보인다. 더구나 미 행정부 내에서 서해 교전 이후 매파의 입지가 강화됨에 따라 북미 대화 재개도 상당기간 불투명할 것으로 예견되는 상황이 이런 관측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 대화 재개 가능할까 정부의 한 당국자는 4일 "이날 성명은 북측도 서해 교전 사태로 남북 관계가 악화되기를 원치 않는다는 점을 확인시켰다"고 긍정 평가했다. 정부 일각에서는 교전 직후 북측이 보인 유화적인 자세를 고려할 때 북측이 당국간 대화를 제의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남북 당국간 회담이 조기에 성사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서해 교전의 성격을 놓고 남한 내 정치세력 간 갈등이 확대되고 있는데다 북측도 남한의 사정을 다 아는 이상 쉽사리 대화에 나설 수 있는 입장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북측의 대화 진의가 이직 확실하다고 볼 수는 없다"면서도 "하지만 북측도 결국 남북대화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상훈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