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구미공단 불산 물처리 초동대처 논란

전문가 "안일한 대처로 대형사고 불러"<br>정부 "가스 확산 막아… 최선의 선택"

경북 구미공단 불산가스 누출 당시 정부의 부적절한 초동대처가 오히려 더 큰 화를 불렀다는 비판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초동대처는 적절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9일 경북 구미 불산가스 누출 현장에서는 가스가 누출되는데 소방관이 무턱대고 물을 살포한 행위가 단순 사고로 끝날 수 있는 상황을 재앙 수준으로 격화시켰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구미공단에서 불산을 취급하는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불산은 섭씨 20도 이하로 안정시켜야 하는데 아무런 사전 정보 없이 현장으로 출동한 소방관이 가스가 피어오르는 것만 보고 무작정 물을 뿌렸다. 20도가 넘는 물이 탱크로 뿌려지며 내부 가스의 기화 압력을 견디지 못해 탱크 뚜껑이 열렸고 더 많은 가스가 배출됐다. 안전관리 부실에 따른 소량의 가스 누출 사고로 끝날 수 있던 상황이 소방서의 미흡한 대처로 대형 사고로 확산됐다는 것이다.

반면 사고 직후 물을 뿌린 행위는 적절한 대처였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다. 환경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이날 구미 불산 사고 현황 및 오염도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현재 구미 피해 지역의 대기ㆍ수질ㆍ토양 및 지하수 등에서는 불산이 불검출 또는 기준치 이내로 검출되고 있다"며 "가스 배출시 물을 뿌림으로써 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 추가 피해를 막았다"고 설명했다. 또 "중화제인 소석회도 동시에 살포했다면 더욱 좋았겠지만 긴급한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물을 뿌림으로써 유독물질이 토양과 강으로 흘러들어가 2ㆍ3차 오염을 일으켰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우려할 만한 상황이 아니다"라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윤혜온 한국기초과학지원 연구원은 "탱크로리가 넘어져 불산이 직접 땅으로 흘러들어간 경우에도 오염은 가스와 직접 닿은 표토층에서만 일어났고 아래로는 오염이 진행되지 않은 점이 확인됐다"며 "공기 중 불산이 용해된 물이 땅과 닿았으므로 직접 노출에 비해 훨씬 덜 심각하며 2ㆍ3차 오염을 걱정할 만한 수준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불산가스 누출사고 자체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는 어느 정도 끝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그에 따른 주민의 정신적인 피해나 추가 위험은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극현 건강영향공동조사단장(순천향대 구미병원 교수)는 "사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3단계에 걸친 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며 "더 이상의 추가 오염이나 피해는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진료를 받은 주민의 건강조사를 하루빨리 마쳐 주민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현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