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용산개발 6년 만에 결국 무산

코레일 이사회, 토지매매·사업협약 해제 안건 만장일치 통과

31조원 규모의 단군이래 최대 개발사업인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이 추진 6년 만에 결국 무산됐다.

코레일은 8일 이사회를 열고 용산 개발사업의 ‘토지매매 및 사업협약 해제’ 안건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고 밝혔다.

용산개발사업은 지난달 12일 59억원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의 이자를 상환하지 못해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진 후 코레일이 기존 주주 협약서를 대신해 제안한 특별 합의서를 바탕으로 사업 정상화 과정을 밟기로 했다.


하지만 SH공사ㆍ롯데관광개발ㆍ삼성물산ㆍ삼성SDS 등 일부 민간 출자사들이 특별합의서에 대한 동의서를 미제출, 지난 5일 열린 드림허브 이사회의 찬성률이 55.7%에 그치면서 코레일 주도의 사업정상화방안이 부결됐다.

관련기사



코레일은 이날 이사회에서 사업협약 해제를 의결함에 따라 오는 22일까지 토지대금 일부인 5,409억원을 출자사들에게 반환하고 토지 매매계약을 해지할 예정이다. 이어 사업협약 해지를 통보하고 서울보증보험에 든 사업이행보증보험 2,400억원을 받기 위한 법적 절차를 오는 30일까지 완료하겠다는 방침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디폴트 이후 사회ㆍ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상화 방안을 제안했지만, 롯데관광개발과 삼성물산 등 민간 출자사와 SH공사의 반대로 무산됐다”며 “용산사업 무산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민간 출자사들은 빠른 시일 내에 제3의 사업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고 공모형PF 조정위원회에 조정 신청을 하는 등 대책을 강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서부이촌동 11개구역 동의자협의회는 긴급 기자회견을 개최, 용산개발사업이 무산되면 서울시와 코레일을 상대로 2,000억원대 피해보상 청구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