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눈동자 문신' 자신감 회복 큰 도움

대인관계등 사회생활 지장 '하얀 눈동자'<br>권지연 서울대병원 교수, "부작용 없이 미용 효과"

검어야 할 눈동자(각막)가 각종 질병 또는 사고로 하얗게 변한 사람들이 있다. 실제 각막은 맑은 유리처럼 투명하다. 다만 안쪽에 있는 갈색 홍채가 비쳐 검게 보일 뿐이다. 눈동자 색깔이 다를 경우 시력상실이라는 고통 외 ‘하얀 눈동자’로 인해 대인관계를 기피하는 등 사회생활을 하는데 심각한 지장을 받는다. 그런데 이런 환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소식이 있다. 서울대병원 권지원(안과) 교수는 지난해부터 눈 외상, 각막염 후유증, 수 차례의 눈 수술 부작용 등으로 인해 검은 눈동자가 하얗게 된 환자들에게 생체에 적합한 염색약을 눈동자에 입히는 ‘눈동자 문신’ 치료로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검은 눈동자가 하얗게 변하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홍역으로 인해 각막염이 유발되어 검은 색(검게 보이는) 각막이 하얗게 변하는 것이다. 각막에 염증이 생기면 균이 각막을 침투, 파괴하는데 이런 과정에서 투명한 각막이 하얗게 변한다. 여러 차례 눈 수술도 원인이다. 백내장이나 녹내장, 망막 등 눈 안쪽 수술을 여러 번 받다 보면 각막 투명도를 유지시키는 세포(각막내피세포)가 감소해 투명성을 잃고 뿌옇게 변한다. 이밖에 유리에 금을 긋거나 깨진 유리를 붙이면 자국이 남듯, 눈 외상의 후유증으로 인해 각막에 상처를 입었다가 낫는 경우에도 상처자국이 하얗게 남을 수 있다. 눈동자 문신은 간단하게 국소마취를 한 후 하얗게 변한 부위의 각막실질(5개층으로 이루어진 각막의 가운데 층)에 생체에 적합한 조직염색약(tissue dye)을 주입하면 된다. 지금까지 시술 후 염색약에 의한 부작용은 없었다는 것이 권 교수의 설명이다. 권 교수는 “경우에 따라 하얗게 된 부위에 염색약이 스며들지 않으면 염색양막시술을 한다. 이 시술법은 검게 염색된 막을 하얗게 변한 눈동자 위에 이식하는 것으로 이식된 막 위로 눈동자 상피세포가 자라서 덮게 되어 미용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