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업 1,000원 팔면 이자만 16원"

한은, 경영분석 결과<br>작년 상장사 이자부담 증가… 수익성 소폭 개선·매출액 감소


상장기업들이 지난해 수익성은 다소 개선됐으나 이자 상환능력은 오히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00원을 벌면 이 중 57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으며 16원은 이자비용으로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난 2009년 상장기업 경영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분석 대상은 1,386개 상장기업과 98개 비상장 주요 기업이다. 이들 기업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보다 0.1% 감소했다. 매출액이 줄어든 것은 2003년 -0.4% 이후 처음이다. 총 자산증가율과 유형자산증가율도 각각 7.8%와 8.8%를 기록, 전년 대비 11%포인트와 4.2%포인트 하락했다. 그러나 매출과 자산은 줄었어도 수익성은 개선됐다. 수익성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은 5.8%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1,000원어치를 팔아 58원을 벌었다는 뜻이다.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전년보다 2.7%포인트 증가한 5.7%를 기록했다. 그러나 여전히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했다. 2007년 매출액영업이익률과 세전순이익률은 각각 6.7%와 7.6%였다. 한편 기업의 이자비용 부담은 더욱 커졌다. 매출액 대비 이자비용을 나타내는 금융비용부담률이 1.6%로 나타났다. 1,000원을 벌면 이 중 16원을 이자로 지급한다는 얘기다. 지난해 기업들의 차입금과 회사채 발행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비율도 377.7%로 1년 사이에 76.3%포인트나 급락했다. 특히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 못하는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인 업체의 비중은 32.3%로 1.4%포인트 늘었다. 자기자본 대비 부채를 나타내는 부채비율도 100.8%를 기록, 지난해 108.9%보다는 줄었지만 여전히 100%를 웃돌았다. 부채비율은 2005년 89.4%에서 매년 줄어들다가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후 다시 100%를 넘어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