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노조원의 강제해산이 무산된 후 쌍용차의 청산 가능성에 점차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정부와 법원이 파업을 중단해도 살아남기 어렵다고 전망하는 가운데 사측 역시 7월 말을 회생 데드라인으로 보고 있어 쌍용차 회생의 불씨가 꺼져가고 있다. 21일 쌍용차에 따르면 지난 5월22일 노조원의 공장 무단점거 이후 이달 20일까지 1만1,520대의 차량을 생산하지 못해 회사가 입은 손실액은 2,456억원에 달한다. 이달 말까지 파업이 지속될 경우 1만4,590대, 3,160억원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생산차질은 지난해 총생산대수(8만2,405대)의 약 20%에 이를 정도다. 쌍용차의 현금보유액도 100억원에 불과해 이달 말이면 바닥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쌍용차는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신차 개발비 및 구조조정 자금용으로 2,500억원을 요청한 상태지만 지원 가능성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쌍용차 청산 가능성은 협력사와 판매망의 붕괴로 현실화되고 있다. 이달까지 파업이 종결되지 않으면 1차 협력업체 대부분이 파산하며 2ㆍ3차 협력업체까지 합쳐 1,000여개사가 줄도산을 맞는다. 쌍용차 협력업체들이 가진 채권 총액은 3,000억여원에 달한다. 쌍용차가 정상화되더라도 채권단이 받을 수 있는 매출채권은 쌍용차 임직원의 급여ㆍ공과금 등 공익채권에 밀려 협력사들로서는 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쌍용차는 법정관리 회사로 은행 채무 등이 모두 동결돼 버틸 수 있을지언정 협력사와 판매망은 정상화되기 전에 무너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사측은 7월 말 파산 선고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 박영태 관리인은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7월이 데드라인”이라며 “이달 말까지 노사 대치가 풀리지 않으면 쌍용차의 존립기반인 생산ㆍ판매 네트워크가 완전히 붕괴된다”고 털어놓았다. 법원 역시 지금처럼 쌍용차의 파행이 지속되면 계속기업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떨어져 회사 측의 회생계획안 제출일(9월15일) 전에 법인 회생절차를 폐지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존속가치를 청산가치보다 3,890억원 높게 평가한 것은 노조 파업이 시작되기 전으로 농성이 장기화되면 손실이 커져 지금은 회사가치가 추락한 것은 분명하다. 법원은 현재 노조의 공장 점거파업이 쌍용차의 기업가치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재조사하고 있다. 정부는 강제해산마저 무의미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20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간담회에서 “지금과 같은 생산중단 사태가 계속되면 쌍용차 파산은 불가피하다”며 “시장 경쟁력이 떨어지는 쌍용차의 생존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혔다. 노사 중재를 위해 정부가 나설 의사가 없음도 분명히 했다. 업계와 전문가들도 쌍용차가 사실상 파산 초읽기에 들어갔다고 진단하고 있다. 김소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부회장은 “이미 회생할 수 있는 시간적 데드라인은 지나 공권력 투입 여부가 중요하지 않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구조조정에 성공해도 생산과 판매 네트워크가 붕괴돼 자동차를 만들 수 있는 기반이 사라져버린 상태”라고 설명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역시 “이미 쌍용차는 생산재개나 공권력 투입 타이밍을 놓쳐 뇌사 상태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팀장은 “지금은 쌍용차 파산의 후폭풍에 대비해 후유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쌍용차 협력업체들의 모임인 ‘쌍용차 협동회 채권단’은 이달 말까지 쌍용차 노사가 해법을 찾지 못하면 다음달 법원에 쌍용차 조기 파산을 요청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