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企조합 정보화 시스템 겉돈다

단체수의계약 배정업무에 80% 편중<br>공동구매·자재거래등 제기능 못살려

정부의 지원을 받아 구축된 중소기업협동조합 정보화시스템이 단체수의계약 배정업무에 주로 사용돼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중소기업청 등에 따르면, 지난 2001~02년 정보화시스템을 구축한 8개 조합(회원사 3,380개)은 올 1ㆍ4분기 중 이 시스템을 이용해 모두 2,238억원(1만6,077건)을 거래했지만 80% 이상이 단체수의계약 배정업무와 관련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단체수계 제도가 폐지돼 독점적 단체수계 계약자였던 조합의 기능이 약화되면 정부가 1개 조합당 4억원 가량을 지원해 구축된 정보화시스템의 활용도가 크게 떨어질 전망이다. 일부 조합에선 단체수계 수수료 수입 감소로 재정사정이 악화, 정보화시스템 유지관리를 소홀히 해 운용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중기청 관계자는 “단체수계 제도를 폐지할 방침이기 때문에 회원사간 공동구매ㆍ판매, 잉여ㆍ불용자재 거래 등에 정보화시스템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조합측에 강조하고 있지만 당분간 기존 이용행태가 바뀌기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중기청은 ‘업종별 정보화혁신 클러스터 구축사업’으로 불리는 조합 정보화시스템 구축사업에 올해 28억원의 예산을 배정, 6~7개 조합의 정보화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개별 조합들은 6억원 가량의 정보화시스템 구축사업비 중 80%(한도 약 4억2,000만원)까지 지원받으며 자체 자금은 주로 서버 구입에 사용하고 있다. 중기청은 올해 한국보일러ㆍ승강기ㆍ정보통신공업협동조합 등 5개 조합을 지원대상으로, 이츠코리아ㆍ이비즈라인ㆍ이씨뱅크ㆍ한국정보마스타ㆍ명성아이에스 등 5개 IT 컨소시엄을 시스템 구축업체로 선정했다. 또 이달 중 정보화사업을 추진할 1~2개 업종별 조합을 추가 선정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