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국의 허리' 4050 남성에게 듣는다] 재테크·노후준비

고학력·고소득·젊을수록 "부동산 불패"<br>10명중 6명이 "가장 효과적 재테크" 꼽아<br>지역별론 서울 거주자 71%로 가장 높아<br>"돈없어 노후대비 전혀 못한다" 10명중 2명<br>연금·보험으로 노후대비 줄고 주식·펀드 늘어



40대와 50대 남성에게 있어서 재테크와 노후 대책 마련은 미래가 아닌 눈앞에 닥친 숙제이다. 하지만 경기침체와 사교육비 부담 등으로 인해 40대, 50대에게서 노후대책은 오히려 멀어지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 노후 대비를 전혀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지난해 100명 중 11.7명에서 올해 18.1명으로 늘어났다. 10명중 2명꼴로 미래를 대비하지 못한 채 불안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셈이다. 현재 이들은 재테크와 노후 대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준비하고 있을까. 40대와 50대는 가장 효과적인 재테크로 ‘부동산 투자’를 단연 압도적으로 꼽았다. 직장 동료 혹은 친구가 강남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부(富)을 움켜진 것을 보아온 이들에게 집과 땅은 목돈을 보장해 주는 최선의 수단으로 각인돼 있는 것이다. 40~50대는 경제활동인구가 올해 사상 첫 1,000만명을 넘어서면 30대를 추월, 우리 경제 주축 세력으로 부상했지만 불안한 일상 속에서 부동산 투자에서의 ‘아쉬움’을 달래며 살아가고 있는 지도 모른다. ◇고학력ㆍ고소득ㆍ서울 거주자, 부동산이 으뜸 = 40대와 50대 남성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재테크 수단을 물어보았다. 결과는 ‘부동산 불패신화’가 여전히 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응답자의 62.0%가 부동산 투자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답한 것이다. 이에 비해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주식이나 펀드 투자는 15.9%에 불과했다. 그 뒤를 은행 저축(9.6%), 국민연금 이외 연금이나 보험(8.4%), 기타(4.1%) 등이 잇고 있다. 정부는 비 정상적인 부동산 값 상승이 일부 투기세력에 의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지만 4050세대에게 부동산 불패 신화는 여전히 가슴 속에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듯 하다. 눈길을 끄는 것은 고학력, 고소득, 서울 거주자 일수록 부동산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이 64.4%로 가장 높았으며, 소득별로는 401만원 이상이 67.5%로 1위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거주자의 경우 10명 중 7명(71.6%)이 부동산을 가장 효율적인 재테크 수단으로 지목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 초반 67.0%, 40대 후반 63.0%, 50대 초반 57.2%, 50대 후반 56.6% 등을 보여 젊을수록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 소장은 “4050세대의 부동산 제일 주의는 이들이 고령층으로 진입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부동산 외에 다양한 재테크 수단이 있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것이 급선무이다”고 말했다. ◇10명 중 2명 돈 없어 노후 대책 못 한다 = 부동산을 가장 효율적 재테크 수단으로 꼽는 이들은 현재 노후 재테크 전략을 어떻게 구사하고 있을까. 1년 전 조사 결과와 비교해 보면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응답이 늘고, 은행 저축과 연금ㆍ보험이 재테크 수단으로 효용가치가 급락한 것이 특징이다. 연금ㆍ보험(국민연금 제외)을 노후 재테크로 이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1년 전에는 73.4% 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51.8%로 줄었다. 은행저축도 이 기간 동안 42.9%에서 27.8%로 감소했다. 소득과 연령, 직업을 불문하고 보험과 저축으로 노후를 대비하겠다는 비율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반면 주식이나 펀드 투자는 11.1%에서 20.5%, 부동산 투자는 25.2%에서 27.9%로 각각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주목할 점은 노후를 위해 재테크를 전혀 못하고 있다는 응답도 18.1%로 10명 중 2명 가량을 기록한 것이다. 이는 1년 전 조사(11.7%) 때 보다 6.4% 증가한 것. 재테크를 하지 못한 원인에 대해 이들은 92.8%가 경제적 여유가 없다는 말로 표현했다. 특히 중졸 이하에서는 10명 중 3명(30.4%), 소득 100만원 이하에서는 10명 중 5명(51.4%) 미래를 위한 투자(재테크)를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등 경제 양극화의 단면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