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작년 KAIST 중도 탈락률 서울대·포스텍의 2배

올해초 학생들과 교수의 잇단 자살로 곤욕을 치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지난해 학생 중도탈락률이 서울대나 포스텍의 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대학알리미 사이트(www.academyinfo.go.kr)에 최근 공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KAIST 재적학생 4,690명 가운데 2.1%인 97명이 학교를 그만뒀다. 이는 서울대 1.3%(2만1,776명중 280명), 포스텍 0.7%(1,639명중 12명)와 비교할 때 2배 가량에 해당하는 것이다. 서울대와 포스텍이 2007년 이후 0.5∼1.3%의 중도탈락률을 보이는 데 비해 KAIST는 꾸준히 2%를 웃돌고 있으며 2008년에는 2.8%에 이르기도 했다. 카이스트 중도탈락률이 증가하는 이유는 의대나 한의대, 치대 등으로 진로를 바꾸거나 KAIST의 시스템에 적응하지 못해 서울대 등 다른 대학 이공계 학과로 옮기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학기 기준 휴학률도 KAIST는 2008년 11.8%에서 올해 17.9%로 올라간 반면 서울대는 25.5%에서 22.5%로, 포스텍은 19.5%에서 17.1%로 낮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