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대형 PF사업 줄줄이 차질 우려

국제회계기준 도입땐 건설사 부채율 올라 자금조달 난항<br>지급보증도 부채로 잡혀


SetSectionName(); 대형 PF사업 줄줄이 차질 우려 국제회계기준 도입땐 건설사 부채율 올라 자금조달 난항지급보증도 부채로 잡혀 김정곤기자 mckids@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내년부터 적용되는 국제회계기준(IFRS)의 영향으로 상장 건설사에 '지급보증' 불똥이 떨어졌다. 그동안 관행으로 이뤄져온 지급보증이 내년부터 상당 부분 부채로 잡히면서 부채비율이 급등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건설사마다 지급보증을 꺼리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조달 길이 막혀 일반 재개발ㆍ재건축은 물론 대형 민자 PF사업이 줄줄이 표류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건설사들이 지급보증에 난색을 표하면서 단군 이래 최대 민자사업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좌초위기에 처한 것도 부채비율 급등 부담 탓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내년부터 모든 상장회사에 IFRS가 의무적으로 적용될 경우 상장 건설업체들이 그동안 부채로 잡지 않았던 지급보증ㆍ연대보증 등 이른바 우발채무가 부채에 포함된다. 현행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실제로 지급 보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가 아니면 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채무로 간주해 주석 형태로만 공시하면 됐다. 하지만 IFRS가 적용되면 반드시 이를 공정가치로 평가해 부채로 처리해야 한다. 신용평가기관인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건설업계의 PF 우발채무 규모는 총 50조767억원이며 이에 따른 부채비율은 190%다. 하지만 IFRS에 따라 부채비율을 재산정하면 350%로 껑충 뛰게 된다. 아파트 개발사업은 물론 재개발ㆍ재건축, 대규모 PF 등 사실상 대부분의 사업에 시공사인 건설업체의 지급보증이 관행화돼 있다. 당장 지급보증이 부채에 포함되면 건설업체들은 대규모 개발사업 참여를 포기해야 할 상황이다. 최근 건설사들이 수익성이 보장된 안정적인 사업만 추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부동산 경기침체뿐 아니라 IFRS로 지금보다 부채비율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H사의 한 관계자는 "시행사가 대부분 영세하기 때문에 금융권 자금을 조달하려면 시공사의 지급보증은 기본사항"이라며 "이로 인해 최근 확실한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는 프로젝트는 아예 검토 대상에서 제외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 대형 건설사의 IFRS 태스크포스팀장은 "바뀌는 회계기준에 따라 PF 우발채무가 부채로 전환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데다 PF 시행사에 대한 지급보증까지 부채로 잡히기 때문에 PF 사업에 적극 나서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