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UST, 인간성장호르몬 대량 생산 기술 개발

성장호르몬 수득율 기존보다 월등히 높여

왜소증 치료, 성장 촉진 등에 활용되는 인간성장호르몬(hGH)의 효율적인 대량 생산을 위한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캠퍼스 최준혁 박사와 석사과정 김민지 학생이 인간호로몬 발현 시 발생하는 단백질 응집현상을 제어해 생산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김민지 학생이 1저자, 최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연구논문은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 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단백질의 일종인 인간성장호르몬의 대장균 내 발현조건과 추출과정을 연구, 이를 단계적으로 최적화해 마침내 불용성 단백질 응집물의 형성을 10% 미만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즉 인간성장호르몬의 전체 발현량 중 90% 이상을 가용화 상태로 회수한 것.

관련기사



또 단 3단계 정제과정만으로도 단백질 순도가 99%에 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렇게 정제된 인간성장호르몬은 세포실험을 통한 결과, 생물학적 활성도 매우 높은 것으로 입증됐다.

최준혁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단백질 정량을 위한 내부표준물로서의 재조합 인간성장호르몬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얻게 된 성공적인 결과”라며 “향후 안전성 평가 등을 거쳐 정제된 인간성장호르몬을 인증표준물질로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가용성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 추출 및 정제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국내 특허출원된 상태다.



구본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