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동산 담보 인정비율도 시중銀 강남·북간 차별

강남 인정비율 81%불구 강북ㆍ금천등 70% 밑돌아<br>주상복합 양극화 더 뚜렷 성동등은 60%도 못미쳐

시중은행의 서울 지역 부동산 담보대출인정비율에도 강남ㆍ강북간에 차별화가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강남은 대체로 부동산 담보인정비율이 높고 강북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민은행이 서울 지역의 구별 부동산 담보인정비율에 따르면 강북구와 금천구ㆍ중랑구ㆍ도봉구 등 이른바 강북 지역의 아파트와 주상복합ㆍ단독주택ㆍ연립주택의 평균 담보인정비율은 70%를 밑돌았다. 하지만 강남구의 담보인정비율은 81.3%에 달해 대조를 이뤘다. 강북구는 담보인정비율이 64.8%를 기록, 전체 25개 구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고 도봉구가 68.8%로 뒤를 이었다. 금천구와 중랑구도 담보인정비율이 각각 69.3%, 69.5%에 불과했다. 담보인정비율은 은행이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모든 대출에 대해 해당 대출이 부실화될 경우에도 얼마나 회수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실상 담보대출의 가이드라인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시가 1억원인 부동산의 담보인정비율이 70%라면 실제 은행이 경매 등을 통해서 7,000만원까지는 회수가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음을 뜻한다. 다만 정부가 개인 부동산 담보대출에 대해서는 LTV(부동산 가격 대비 담보대출 가능금액)를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어 투기지역의 경우 부동산 가격의 50%, 기타 지역은 60%까지 제한하고 있다. 주거형태별로는 아파트의 평균 담보인정비율이 81.9%로 가장 높았고 단독주택은 75.2%, 연립주택은 72.7%의 수준을 나타냈다. 주상복합건물은 담보인정비율이 65.6%로 가장 낮았다. 아파트의 경우 성동구와 마포구ㆍ영등포구ㆍ중랑구ㆍ노원구ㆍ양천구ㆍ금천구 아파트의 담보인정비율이 무려 85%를 넘어섰다. 하지만 강북구가 67.0%의 담보인정비율이 적용된 것을 비롯해 중구와 서대문구ㆍ서초구ㆍ광진구 등의 담보인정비율은 80%에도 미치지 못했다. 주상복합은 양극화 경향이 더욱 뚜렷해 성동구와 도봉구ㆍ송파구ㆍ금천구ㆍ강북구의 주상복합은 담보인정비율이 60%에도 미치지 못했으나 강남구와 마포구ㆍ용산구 등은 80%를 넘어섰다. 단독주택의 경우 강남구가 무려 86.0%의 담보가치를 인정받은 것을 비롯, 중구ㆍ마포구ㆍ용산구ㆍ서초구ㆍ송파구 등의 담보인정비율이 80%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