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4월 23일] 한나라당은 세종시에 관심 있나없나

세종시 문제에 대한 당내 입장을 정리하기 위해 출범한 한나라당 6인 중진협의회가 국민의 기대와는 달리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49일 만에 활동을 종료했다. 중진협의회가 당내 친이ㆍ친박계의 대립을 초월해 절충안을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했으나 국민의 관심이 천안함 사태에 쏠린 와중에 슬그머니 활동을 끝낸 것이다. 무책임하고 실망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중진협의회가 국민의 기대를 저버림에 따라 세종시 수정 관련법안이 조기에 처리될 전망은 더욱 불투명해졌다. 중진협의회가 과연 세종시 문제 해결에 관심이나 있었는지 의문이다. 세종시 절충안 마련 등을 위해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현장을 방문한 것 외에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세종시 문제를 놓고 토론은 몇 차례나 했는지, 어떤 의견들이 나왔는지 내용을 소상하게 밝히는 것이 집권여당 중진으로서의 책임이다. 지금이라도 계파 간 시각차 등 토론내역 등을 공개해 국민의 궁금증을 풀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부가 어렵사리 수정법안까지 제출해놓은 세종시 문제에 대해 집권여당이 강 건너 불 보듯 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다. 천안함 사태에 묻혀 국가대사인 세종시 문제가 마냥 표류하거나 물 건너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정운찬 총리가 세종시 수정법안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하고 나섰지만 한나라당 최고위원까지 국민의 피로와 염증을 불러일으킨 문제가 다시 부상하는 것은 정부나 당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외면하는 실정이다. 한나라당은 정치적 계산과 눈치만 보고 있을 것이 아니라 의원총회를 열어 원안이든 수정안이든 당론을 결정하는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정 총리가 꺼져가는 세종시 불씨 살리기에 나섰지만 한나라당의 협조가 없으면 결말이 나기 어렵다. 세종시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당정협의를 강화하는 한편 한나라당이 하루빨리 당론을 결정해 국회에서 법안이 처리될 수 있는 길을 터야 한다. 8년 가까이 끌어온 세종시 문제는 시간을 끌수록 국가적 부담과 피해가 늘어나게 된다. 거창하게 출발한 중진협의회가 성과 없이 끝난 것은 계파갈등을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계파 간 이해관계를 뛰어넘어 국익 차원에서 과감하게 절충 타협하는 큰 정치를 보여줘야 한다. 6ㆍ2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5월 중 처리가 어렵다면 선거가 끝난 직후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법안을 처리할 수 있도록 내부 조율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