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고통분담 외면하는 물가(사설)

환율과 금리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물가도 덩달아 춤을 추고 있다. 벌써 원유가를 비롯, 밀가루·설탕·식용유·라면 등 생필품값이 일제히 뛰었다. 개인서비스 요금도 앞다퉈 인상이 한창이다. 새해 들어서면 원유가가 또 조정되면서 대중교통요금도 대폭 오르게 된다. 물가의 뜀박질로 이미 바닥난 가계가 파탄이 나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다.새해에는 국제통화기금(IMF) 체제가 본격화, 세금도 만만치 않게 인상된다. 반면 소득은 임금의 동결 내지 삭감 등으로 금년대비 이만저만한 감봉이 아니다. 대량실업도 예고돼 있어 국가만 부도가 아니지 국민 모두는 실질적인 부도 사태나 다름없다. IMF는 정부와의 협약에서 내년도 물가상승률을 5%이내로 내세웠다. 5%안에서 물가를 잡을 수만 있으면 다행이지만 지금의 상황으로 보아선 불가능에 가깝다. 환율이 두배이상 폭등한 현실속에서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생필품가격을 묶는다는 것 자체가 무리이기 때문이다. 또 치열해질 세금공세를 감안하면 물가뜀뛰기는 불을 보듯 뻔하다. 결국 고통은 고스란히 국민의 부담이다. 허리띠를 졸라매도 방법은 없다. 그런다고 포기할 수만은 없지 않은가. 우선 국민들로서는 최근의 품귀소동에서 보여준 사재기·싹쓸이와 같은 부끄러운 작태를 버려야 한다. 사재기·싹쓸이는 곧 품귀로 연결돼 물가를 부추기고 그 피해는 소비자에게 돌아온다. 이제 건전하고 성숙된 모습의 소비자상을 보여 줄 때다. 제조회사도 마찬가지다. 물가인상 요인을 가급적 자체내에서 흡수하고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비율을 최소화해야 한다. 국가가 당면한 고통스러운 현실을 함께 분담해야지 완전히 떠넘기기식은 곤란하다. 최근 대중교통기관인 버스회사들이 요금인상을 내걸고 파업불사로 나선 것은 버스회사들의 어려움을 이해는 하지만 자제해야 옳았다. 특히 개인서비스 요금은 터무니 없이 오른 것이 많다. 원가 계산없는 마구잡이 올려받기다. 정권말 행정력이 어수선한 틈을 노린 악질 상혼이다. 이래서는 나라가 잘되지 못한다. 「고통이나 슬픔은 서로 나누면 반감된다」는 격언이 새삼스런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