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강남 달동네' 구룡마을 재개발

개포동 일대 2,793가구 건립<br>공시價 낮아 토지보상 진통예고


서울 강남권의 마지막 '달동네'로 불리는 개포동 구룡마을 재개발 사업이 닻을 올렸다. 서울시는 강남구 개포동 567 일대를 수용해 SH공사가 공영 개발하는 내용의 '구룡마을 정비계획안'을 28일 발표했다.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구룡마을 25만2,777㎡ 부지에는 아파트 2,793가구와 학교ㆍ복지시설ㆍ공공청사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시는 우선 전체 아파트 중 1,250가구를 영구ㆍ공공임대 아파트로 구성해 구룡마을 무허가 판자촌 및 비닐하우스에 거주하고 있는 1,242가구 전원의 재정착을 유도할 방침이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개발과장은 "현행법상 도시개발사업에 따라 임대주택을 받으려면 기초생활수급자 요건을 갖춰야 한다"며 "구룡마을 거주가구 중 기초생활수급자는 151가구에 불과하기 때문에 나머지 거주민들에게도 임대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오는 6월 중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을 국토해양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사실상 무허가 판자촌 주민들에게 '특혜'를 주는 셈이지만 20년 넘게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살아온 점을 감안할 때 사회 여론이 이를 인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다만 '물딱지(무허가 주택을 매매해 입주권을 확보하는 것)' 를 사들인 투기세력은 철저히 가려낼 방침이다. 김병하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실거주 여부 및 재산소유 현황 등을 면밀하게 따져 외지인이 불로소득을 얻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룡마을 재개발 사업이 첫발을 내딛었지만 향후 전망은 불투명하다. 당장 토지보상 단계부터 진통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구룡마을 일대는 500여명의 토지주가 분산 소유하고 있는데 1㎡당 공시가격이 100만원선에 불과해 이 가격에 보상이 이뤄질 경우 반발이 거셀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시는 분양전환이 되지 않는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할 예정인 만큼 분양전환 임대주택을 원하는 현지 거주민들의 요구도 변수가 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