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상업용 빌딩투자 수익률 뚝

3분기 오피스 1.52%P·매장 1.12%P 떨어져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국내 경제성장률 하향 전망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으로 오피스ㆍ매장 등 상업용 빌딩투자 수익률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공급 증가로 공실률도 상승해 상업용 빌딩시장에 대한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서울과 6대 광역시, 경기 지역 등에 위치한 상업용 빌딩의 3ㆍ4분기 투자수익률을 분석한 결과 오피스빌딩과 매장용 빌딩의 수익률이 모두 하락했다고 17일 밝혔다.

오피스빌딩 투자수익률은 3ㆍ4분기 들어 0.21%을 기록해 전 분기 대비 1.52%포인트나 하락했다. 매장용 빌딩의 투자수익률도 전 분기 대비 1.12%포인트 낮은 0.47%로 나타났다. 투자수익률은 소득수익률과 자본수익률을 합산한 것을 의미한다.


임대료 수입 등의 소득수익률은 임대료가 보합 내지 소폭 상승했으나 재산세 부과(7월16일~7월31일)에 따른 영업경비 증가로 오피스빌딩과 매장용 빌딩 모두 1.12%, 0.95%로 전 분기 대비 하락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빌딩의 자산가치 변동을 나타내는 자본수익률은 전반적인 부동산경기 침체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으로 오피스빌딩은 전 분기 대비 1.24%포인트 하락한 -0.91%, 매장용 빌딩은 전 분기 대비 0.77%포인트 하락한 -0.48%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간 투자수익률로 환산하면 오피스빌딩의 수익률은 5.35%, 매장용 빌딩은 5.32% 수준"이라며 "은행 금리인 3~4%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지만 경기가 워낙 안 좋다 보니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빈 사무실도 늘고 있다. 9월 말 현재 현재 오피스빌딩의 공실률은 평균 8.6%로 전 분기보다 0.2%포인트 높아지면서 최근 2년 새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매장용 빌딩은 9.2%로 전 분기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4ㆍ4분기에도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과 경기침체에 따른 구조조정을 위한 빌딩 매물 증가와 사무공간 축소 등의 영향으로 공실률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