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장항산업단지 착공 미룰 이유 없다

충남 서천군 주민들이 국가지정 후 17년간 미뤄온 장항국가산업단지 연내 착공을 요구하며 분노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 18일 장항읍 주민들이 초등학교 자녀들을 등교시키지 않았고 19일엔 주민 2,000여명이 장항읍과 군산시를 연결하는 금강 하구둑을 막고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서천 군수는 서울종합청사 앞에서 천막시위를 했고 주민들은 앞으로 서해안 고속도로를 점거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그 동안의 과정을 짚어보면 화도 날만하다. 장항산업단지는 1989년 군산지역과 함께 군장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되고 진입로 개설 등에 2,000억원의 사업비까지 투입됐으나 갯벌보존 등을 내건 환경단체의 반대로 제동이 걸렸다. 이에 비해 군산지구는 지정 뒤 바로 착공해 이달 말 준공을 앞두고 있다. 이미 공단에 대우자동차 공장 등이 입주해 지역경제가 활기를 띠고 있으니 서천군민의 박탈감이 클 수밖에 없다. 장항산업단지가 아니더라도 서천군민의 정부와 정치권에 대한 불신은 아주 크기만 하다. 선거 때 만 되면 정부 여당 등은 군민의 숙원인 장항선과 군산선을 연결하는 금강철교 건설을 약속했으나 공약(空約)으로 끝났다. 이웃 군산산업단지 준공에다 새만금 사업까지 착착 진행되는 것을 바라만 보기엔 인내의 한계에 도달했다. 지난 10월 노무현 대통령이 현지갯벌을 시찰해 기대가 부풀었으나 이젠 실망으로 변했다. 충청남도 서남해안 끝머리에 자리잡은 서천군 해안은 청정지역으로 한 때 부녀자들의 모래찜질 명소로 이름을 날리기도 했다. 그러나 금강 하구둑을 건설한 후 해류변화로 토사가 싸이면서 장항지구는 죽은 갯벌이 됐다. 한국해양연구원이 실시한 전국 69개 갯벌의 생태조사에서 보존순위 61위로 하위권을 맴돌았다. 이 같은 갯벌을 보존해야 한다는 환경단체의 요구로 착공을 미루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철새 도래지도 금강 하구둑 상류로 옮겨 간지 오래다. 이미 청정지역의 명성을 잃은 데다 산업시설이 없어 육지의 낙도처럼 낙후된 이 지역에 산업단지를 건설하는 것은 국토균형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이다. 착공을 서둘러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