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일부 “북한에 수정제의 안 하지만, 대화의 문 열려 있다”

“꼭 김양건 고집은 안 해… 책임있는 인사면 돼”

통일부는 12일 “남북당국회담 성사를 위해 북한에 수정 제의는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는 그러나 북측의 일방적인 불참 통보로 무산된 남북당국회담은 북한이 우리 수석대표의 급을 문제삼은 입장을 철회할 경우 언제든지 열릴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입장 변화를 보여 와야 한다”면서 “우리로서는 어제 교환한 현재의 대표단과 북한의 대표단이 변한 게 없다면 언제든지 회담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는 우리 정부가 수석대표로 내세운 통일부 차관과 북한이 내세운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서기국 국장 간의 남북당국회담은 북한이 수용할 경우 언제든지 열릴 수 있다는 의미다.

그는 “남북당국회담을 통해 남북간 현안을 협의·해결하는 노력을 할 것이며 그런 노력에 북한이 호응해 와야 한다”면서 “언제든지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우리 정부가 남북당국회담에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의 참석을 반드시 고집하고 있지는 않다는 입장도 밝혔다.

관련기사



통일부 당국자는 “통전부장이 아마도 통일장관 상대로 걸맞는게 아니냐는 예를 든 것”이라면서 “통전부장이 아니면 장관을 안 내보내겠다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김양건이 어렵다면 그 정도의 권한이 있는 사람은 여럿이 있다. 다른 정치국 후보위원 중에 한 명이 나올 수도 있는 것이다”면서 “특정인을 고집했다기보다는 권한과 책임 있는 인사가 나올 것을 요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이 강지영 조평통 서기국장을 수석대표로 내세운 데 대해서는 “조평통 서기국을 우리 조직과 굳이 비교한다면 민주평통을 지원하는 사무처 정도의 권능과 역할을 하는 곳”이라면서 “그런 기구의 장이 통일장관의 상대로 걸맞으냐”라고 반문했다.

이 당국자는 “새로운 시대 및 환경에서 새로운 남북관계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그런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는 하나의 과정에 오늘 같은 진통이 따른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정부가 지나치게 형식에 얽매여 지난 20년간 이뤄진 남북 당국간 회담의 의미를 스스로 부정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박근혜 대통령의“형식이 내용을 결정한다”는 과거 발언을 언급하며“새로운 상황에서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미래지향적으로 가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