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4분기 가계 신용위험 9년來 최대…금융위기 때보다 위험

올해 4ㆍ4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이 금융위기 때보다 더 커질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의 대출수요는 늘지만 중소기업에 대한 은행의 대출 문턱은 더 높아질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한국은행이 9월 10∼24일까지 산업은행,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6개 국내은행 여신 책임자를 면담해 4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조사) 결과’를 보면 4ㆍ4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지수는 38포인트로 나타났다. 이는 카드사태(2003년 3ㆍ4분기ㆍ44포인트) 이후 가장 큰 값이다. 금융위기(2008년 4ㆍ4분기~2009년 2ㆍ4분기ㆍ25포인트) 때보다도 1.5배 높다.

가계신용위험지수는 지난해 매 분기 3~9포인트에 불과했다. 그러나 올해 1ㆍ4분기 9포인트, 2ㆍ4분기 22포인트에 이어 3ㆍ4분기 28포인트로 오름세다. 한은은 “주택가격 하락으로 주택 담보가치가 감소하고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의 채무상환능력에 대한 우려가 심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의 신용위험도 증가했다. 4ㆍ4분기 대기업의 신용위험은 16포인트로, 2009년 2ㆍ4분기(16포인트) 이후 가장 높았다. 중소기업도 44포인트로, 2009년 1ㆍ4분기(47포인트) 이래 최대였다.

관련기사



가계와 기업을 종합한 민간부문의 신용위험지수는 38포인트로, 2009년 1ㆍ4분기(38포인트) 수준에 맞춰졌다. 이에 따라 기업을 중심으로 민간의 대출수요도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4ㆍ4분기 중소기업 대출수요지수는 3ㆍ4분기 13포인트에서 25포인트로 껑충 뛰었다. 내수 위축으로 돈 가뭄이 든데다 연말 등 계절적 요인까지 가세한 탓이다. 대기업 역시 전분기와 같은 16포인트로 금융위기(2008년 3ㆍ4분기ㆍ31포인트) 이후 최대다.

그러나 은행의 문은 점점 닫히는 추세다. 4ㆍ4분기 은행의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는 3포인트로, 2010년 2ㆍ4분기 0포인트 이후 가장 작다. 수치가 작을수록 은행이 대출에 소극적이란 뜻이다.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는 올해 1ㆍ4분기 13포인트 이후 2ㆍ4분기 9포인트, 3ㆍ4분기 6포인트로 하락일변도다.

/온라인뉴스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