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중동사태 확산 대비 종합대책 세워야

리비아 사태가 갈수록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중동사태 관련 대책회의를 갖고 리비아 교민 및 근로자의 안전 확보 및 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 무아마르 카다피가 "물러날 수 없다"고 75분 동안 TV연설을 한 후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가 생지옥으로 변하는 등 내전상태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 교민 및 근로자 1.398명의 안전이 최우선 과제다. 국제금융시장이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는 가운데 유가는 배럴당 200달러까지 치솟을지 모른다는 극단적인 시나리오까지 나오고 있다. 이처럼 사태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자 미국ㆍ중국과 영국 등 유럽 국가들은 진작 자국민을 철수시키기 위해 국적기를 띄우고 인근 국가의 협조를 얻어 여객선을 동원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에 비하면 우리의 대응은 한발 늦었다. 대책의 내용은 1차로 이집트 항공기를 이용해 260명을 대피시키고 나머지 근로자들의 경우 업체 간 연계를 통해 인근 대형 건설공사장 캠프로 이동해 집단 방어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카다피의 저항 등으로 미뤄 리비아 사태는 평화롭게 수습될 가능성이 낮고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미 1,000명 이상 사망했다는 보도가 사실일 경우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공산이 크다. 내란 등 혼란상태에 빠지면 외국인들은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된다는 점에서 우리 근로자와 교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 대형 건설공사장 캠프의 집단방어 방식으로는 마음을 놓을 수 없으므로 육로는 물론 국적기와 인근 국가의 항공기 및 선박 등을 동원해서라도 하루빨리 대피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중동사태는 튀니지ㆍ이집트와 리비아 등 북아프리카를 거쳐 바레인과 예멘 등으로 옮겨가는 양상이다. 사태가 중동 전체로 번질 경우에 대비해 교민 및 근로자 철수는 물론 경제 피해를 최소화하는 종합대책을 서둘러 마련하고 청와대나 총리실을 중심으로 비상대책반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석유수급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원유재고와 도입 현황을 일일 점검하고 수입선 다변화 등을 통한 안정적 확보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중동사태에 따른 인명피해는 물론 경제적 충격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