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시 잉글리시 타운 '없었던 일로'

타당성 조사 없이 발표…'전시행정' 비난 자초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에 외국인들이 모여 사는 잉글리시 타운을 조성하려던 서울시의 계획이 사실상 백지화됐다. 서울시 박희수 국제협력과장은 19일 "그동안 잉글리시 타운 건립을 위해 비영어권 국가에 조성된 잉글리시 타운의 사례를 검토해 봤으나 찾아보기 힘들었다"면서 "제도적 제한 등을 감안할 때 사실상 건립이 힘들다고 판단, 검토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잉글리시 타운 건립 계획은 지난 3월 윌리엄 오벌린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회장이 이명박 시장에게 "외국인들이 모여 살 수 있는 잉글리시 타운을 조성해 달라"고 건의하면서 표면화됐다. 이에 대해 이 시장은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고 시는 이어 4월 `2020서울 도시기본계획안'을 발표하면서 강서구 마곡지구에 30만평 규모의 첨단산업단지조성과 함께 외국인들이 거주할 수 있는 10만평 규모의 잉글리시 타운도 만들겠다고밝혔다. 당시 시는 잉글리시 타운에 대해 현재 건립 중인 청소년 영어 연수시설인 풍납동 영어체험 마을과는 다른 개념으로 집과 상점, 영화관, 병원, 학교 등을 갖춘 일종의 영어권 소도시라고 설명한 바 있다. 그러나 박 과장은 "잉글리시 타운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조차 정립되지 않았다"면서 "외국인 의료시설이나 교육시설이 들어서는 데 제도적 제한이 많을 뿐 아니라이 시설 등에 대한 외국인 수요도 있을지 의문"이라면서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처럼 시는 사업의 타당성 조사조차 하지 않은 채 섣불리 잉글리시 타운 조성계획을 발표, `전시행정'이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