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LG카드 공동관리 타결] LG그룹 “할수있는 모든조치 다했다”

LG그룹은 이번 추가 지원으로 LG카드 유동성 타개를 위해 그룹이나 오너가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를 했다는 입장이다. 구본무 회장은 이미 LG투자증권, LG카드 지분을 포기한데 이어 향후 카드 추가 부실이 발생하면 유동성 지원을 위해 ㈜LG 지분(5.46%ㆍ1,448만주)을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그룹으로서도 LG카드와 LG투자증권 등 금융계열사에 대한 지분을 모두 포기했으며, 카드 경영정상화를 위해 최대 1조7,25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사실상 `가진 것 모두`를 내놓았다는 의미다. LG그룹 관계자는 “카드 부실로 발생할 수 있는 국가경제적 손실과 LG 브랜드 이미지 하락을 막기 위해 모든 조치를 취했다”면서 “카드가 조기에 정상화되길 위해 최대한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로 인해 구 회장은 그룹 지주회사인 ㈜LG의 지분을 사실상 모두 포기하게 됐다. 이 경우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는 주목대상이다. 그룹 축은 이에 대해 “설사 ㈜LG지분을 전량 매각한다 해도 구 회장의 경영권 행사에는 어떤 영향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LG는 구 회장의 친인척들 및 허창수 LG건설 회장 등 개인 대주주들을 비롯한 우호지분이 무려 62%를 웃돌고 있다. 비록 구 회장의 지분을 모두 매각한다 해도 나머지 대주주들의 지분(56.4%)이 과반수를 넘는다. 따라서 이들이 구 회장을 `그룹 경영을 대표하는 총수`로 인정해주기만 하면 경영권에는 어떤 변동도 발생하지 않는다. 실제로 LG그룹 관계자는 “구 회장이 여전히 ㈜ LG 대표이사 회장직을 유지하고 있고 향후 주총과 이사회에서도 유임이 확실하다”면서 “㈜LG 주요 주주들이 경영권을 인정하고 있어 특별히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 경우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이 구 회장의 경영실책을 걸고넘어질 소지는 다분하다. 또 회사 지분이 없는 오너에 대해 경영권을 인정할 수 없다는 논란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다. 특히 LG카드 부실로 인한 금융계열사 처리과정에서 손실을 볼 수 밖에 없는 소액주주들의 반발도 무시하기 어렵다. <최인철기자 michel@sed.co.kr>

관련기사



최인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