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야 일정 일단 스톱… 비상체제 맞춰 재편

[김정일 사망] ■ 국회·정치권 움직임<br>원내대표 긴급 회동 외통·국방·행안위 등 이른 시일내 재개키로

국회의 19일 모든 정치 시계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에 맞춰 재편됐다. 각각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및 당 대표 출마 일정 등에 부산했던 여야는 각각의 정치 일정을 멈춘 채 김 위원장 사망에 따른 사후 대책 마련에 들어갔으며 한 달여 가까이 공전됐던 국회 활동도 중요 상임위원회를 시작으로 재개됐다. 박희태 국회의장은 이날 오전 김 위원장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 국회 운영위원장인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에게 외교통상통일위원회ㆍ국방위원회ㆍ정보위원회 소집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황 원내대표와 김진표 민주통합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긴급 회동을 갖고 시급히 개최가 필요한 곳을 중심으로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상임위 활동을 재개하기로 했다. 우선 국방위와 외통위ㆍ정보위ㆍ행안위가 열릴 예정인데 각 부처 장관ㆍ차관들이 국가안전보장회의나 부처별 대처 방안 논의 등 시급한 일정에 들어가 있는 점을 감안해 형편이 되는 순으로 상임위를 열기로 했다. 박 의장은 "한반도에 예측불허의 상황이 전개된 만큼 국민들이 불안해 하지 않도록 관련 상임위를 소집해 만반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김 위원장 사망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한치도 흔들려선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여야는 김 위원장 사망 소식을 접하고 각각 긴급대책회의에 들어갔다. 한나라당은 이날 전국위원회를 통해 추대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중심으로 비상대책회의를 개최했다. 민주통합당 역시 이날 오후1시께 예정에 없던 긴급최고위원회의를 개최, 이해찬 전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한반도 안정과 평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김동철(외통위), 신학용(국방위), 최재성(정보위) 등 3개 상임위 간사 및 당내외 전문가를 참여시켜 한반도 정세변화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아울러 이날 여야가 각각 준비했던 당 쇄신안 발표, 당 대표 출마 선언 등 각종 정치 이벤트는 김 위원장의 사망 소식으로 생략ㆍ축소됐다. 당초 당 쇄신의 시작을 알리는 대대적 행사로 진행될 예정이던 한나라당의 전국위원회는 일정을 최대한 생략한 채 진행됐고 박 비대위원장도 간단한 수락 연설을 끝으로 곧바로 비상대책회의에 들어갔다. 박 위원장은 수락 연설을 통해 "국가안보 차원에서 정파를 초월한 초당적 협력이 필요한 때"라며 "모든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0.1%의 가능성까지 대비할 수 있는 물샐 틈 없는 대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당 대표 출마를 공식 선언한 한명숙 전 국무총리도 예상 밖의 소식에 급작스레 출마 행사 일정을 줄였다. 이날 오전 영등포 당사에서 출마의 변을 밝힌 뒤 기자들과 함께 인근 식당에서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었지만 도중 터진 김 위원장 사망 소식으로 간담회를 중간에 급하게 중단해야 했다. 한 전 총리는 간담회 도중 김 위원장의 사망 소식을 접한 뒤 기자들에게 "이런 급한 상황이 터질 때일수록 남북 간 핫라인이 중요해진다"며 "비상시를 대비해 핫라인을 통해 소통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남북관계를 위해 매우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김 위원장의 사망 소식을 접한 후 여야의 공식 반응은 미묘하게 엇갈렸다. 한나라당은 대변인 차원의 논평을 삼간 채 신중한 대응에 나선 반면 민주통합당은 긴급최고위원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김 위원장에 대한 조의를 표하는 등 적극적 반응을 보였다. 김유정 민주통합당 원내대변인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급서에 따른 당의 입장' 브리핑을 통해 "김 위원장의 급서에 조의를 표한다"며 "정부는 남북관계에 불필요한 긴장과 갈등이 조성되지 않도록 지혜롭게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