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27일 2차 재스민 집회 소식 확산…中 정부 초긴장

[혼돈의 리비아]<br>네티즌 가상사설망 등 이용<br>인터넷 검열 강화 안먹혀<br>집회도시도 18곳으로 늘어

중국 정부가 인터넷 검열에도 불구하고 불법 가상사설망(VPNㆍVirtual Private Network) 접속 등을 통해 이번주 말 계획된 중국판 '재스민' 집회 소식이 확산되고 있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해외에 서브를 둔 VPN 서비스를 매월 50~60위안을 내고 이용하면 중국 당국의 인터넷 검색 차단을 피할 수 있어 페이스북 등을 통한 집회 정보 교환이 얼마든 가능하다. 24일 홍콩 밍바오(明報)에 따르면 미국 인권단체가 운영하는 중국어 인터넷 사이트인 보쉰(博訊ㆍwww.boxun.com)에는 23일 '재스민 혁명 제 2차 집회' 예정지로 베이징ㆍ상하이를 비롯한 중국 전역의 18개 주요 도시 지점을 지정, 중국 네티즌들의 참여를 촉구했다. 오눈 27일로 예정된 2차 집회는 지난주 말 1차 집회 때의 13개 도시 외에도 티베트의 라사, 신장의 우루무치 등 소수민족 거주지로 정치적으로 민감한 5개 도시가 추가됐다. 게다가 3월2일 예정된 중국 최대정치행사인 양회(兩會ㆍ 전국인민대표대회 및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직전에 열리는 것이어서 중국 당국이 더욱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보쉰 사이트에 공개된 글에는 이번 집회 코드명을 다음주 열리는 정치 행사에 빗대 '양회'로 명명했다. 또 이번 집회를 계기로 일회성이 아니라 매주 일요일 오후2시에 지정된 장소에 모여 집회를 갖자고 제안했다. 베이징 소재 칭화대학의 한 학생은 "상당수 대학생들은 VPN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당국의 인터넷 검열을 우회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페이스북 등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간단한 소프트웨어만 장착해 중국 당국이 막고 있는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투브에도 접속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학원가에서는 이번 집회와 관련해 아직까지 가시적인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당국이 베이징대ㆍ칭화대ㆍ런민대 등의 캠퍼스 내 대자보를 붙이는 것을 금지하는 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시위 분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 인터넷 검열 강화와 함께 민심을 잡기 위한 행보도 병행하고 있다. 차기 최고지도자로 유력한 시진핑(習近平) 국가 부주석은 23일 베이징 중앙당교에서 열린 성(省) 및 중앙정부 간부 세미나 수료식에서 "인민을 위해 복무하는 정신이 중요하다"며 "대중의 관심사인 교육, 소득증대, 의료 서비스, 연금, 주택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전인대 상무위원회는 임금 체불 업주를 최대 3년 징역형에 처할 수 있는 법안을 공개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민주화 운동가를 대거 체포하는 강압적 방식과 함께 이번 집회가 대중의 민생고 시위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양회를 전후해 보다 적극적으로 민생 복지 개선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