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4000억 규모 의약품 재분류 제약업계 촉각

보건복지부가 약국 외 판매 품목으로 예시한 가정상비약과 약사단체가 일반약 전환을 요구한 전문약의 매출액 합계가 4,000억원 이상에 달해 진행 중인 의약품 재분류에 제약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복지부가 지난 21일 열린 중앙약사심의위원회(약심) 의약품분류소분과위원회 2차 회의에서 약국 외 판매 의약품으로 예시한 가정상비약 10개 품목의 지난해 국내 매출은 1,000억원을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약국 외 의약품으로 예시된 해열진통제 3종의 매출은 바이엘의 아스피린이 290억원, 얀센의 타이레놀 283억원, 삼일제약의 부루펜 83억원으로 총 656억원에 달했다. 종합감기약의 지난해 매출은 동화의 판콜이 163억원, 화이투벤 22억원, 중외제약의 화콜 17억원 등 모두 202억원으로 나타났다. 소화제는 한독의 훼스탈이 96억원, 대웅제약의 베아제 45억원으로 총 139억원을 기록했다. 파스류인 제일약품의 쿨파프는 27억원을 기록했다. 이들 9개 품목의 매출 합계는 1,026억원에 이르고 있다. 또한 대한약사회가 일반약 전환을 요구한 전문약 20개 성분 479개 품목의 지난해 매출은 총 3,278억원으로 집계됐다. 논란이 되고 있는 사후피임약 레보노르게스트렐은 80억원에 이르고 인공눈물 히알우론산나트륨은 635억원, 비염치료제 플루티카손 430억원에 이른다. 제약업계는 일반약 약국 외 판매와 전문약의 일반약 전환에 대해 예의주시하며 대책을 마련중이다. 슈퍼판매가 논의되는 자양강장드링크 박카스를 시판중인 동아제약 관계자는 “(약국외 판매에 대해)신중히 검토중이며 아무것도 결정된 바는 없다”고 밝혔다. 상위제약사의 한 관계자는 “특히 전문약의 일반약 전환은 영업대상이 의사에게서 약사로 바뀌는 것인 만큼 영업형태의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