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권혁세 새 금감원장 "검사기능 강화 금융부실 선제 대응"

"금융신뢰 종결자로 거듭날것"


"검사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금융회사와 시장에 대한 상시감시도 강화해 잠재 불안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습니다." 권혁세(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의 취임 일성이다. 권 원장은 28일 오후 취임식에서 "금융감독원의 모습을 일신(一新)해 '금융안정과 금융신뢰의 종결자'로 거듭나도록 노력하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검사기능이 상대적으로 취약해져 금융부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면서 "검사기능을 강화해 현장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감독과 제도개선에 신속히 반영하겠다"고 설명했다. 금감원 본연의 역할인 건전성 감독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검사기능이 강화돼야 한다는 게 권 원장의 진단. 그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금융을 전쟁터라고 한다면 전방은 검사현장"이라며 "전방을 강화하고 후방조직은 슬림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구상에 맞춰 지난 2008년 통합됐던 감독과 검사업무가 다시 분리되고 검사업무를 총괄하는 본부가 조만간 설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현재 320명 수준인 검사인력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취임사에서 권 원장은 가계부채 문제와 무분별한 외형경쟁, 자산 쏠림현상 등 현안에 대해서도 '상시감시 강화'를 처방책으로 제시했다. 금융시장 불안요인에는 선제적으로 대응해 금감원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쌓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권 원장은 건전성 감독과 소비자 보호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약속했다. "건전성 감독과 소비자 보호는 금감원의 신뢰와 평판에 직결되는 과제이기 때문에 한치의 빈틈도 없이 수행돼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금감원 내부 개혁에 대한 의지도 내비쳤다. 권 원장은 "조직쇄신을 통해 감독의 효율성을 높이고 부서 이기주의를 타파하겠다"며 "부서 간 정보공유의 폭을 과감히 넓히고 상호 소통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금감원 조직이 효율성에 무게중심을 두게 되면 부원장들이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하도록 본부장 제도가 폐지될 가능성이 있다. 금융권에서는 신임 금감원장의 취임과 함께 금감원 안팎에 대대적인 변화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권 원장이 금융감독위원회 감독정책1국장과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부위원장 등을 거치면서 지난 4년간 금감원과 호흡을 맞춘 만큼 금융감독에 대한 소신이 누구보다도 분명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권 원장은 이날 취임사에서 논어 태백편에 나오는 '임중이도원(任重而道遠ㆍ책임은 무겁고 갈 길은 멀어 보인다)'을 인용해 임무에 대한 책임감과 금감원 쇄신에 대한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