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산업은행, 대우조선해양 매각 '고심'

대우건설 매각 작업이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산업은행이 최대 주주로 있는 대우조선해양 매각 문제에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산은의 김종배 부총재는 최근 옥포조선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대우조선해양의지배구조 및 매각방식과 관련해 컨설팅회사에 용역을 의뢰했다"면서 "오는 9월말이나 10월초께 용역 결과가 나오면 의사결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은 산업은행이 전체 지분의 31.26%,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19.11%를 보유해 정부측 지분율이 총 50.37%에 이른다. 산은은 그러나 국가기간산업인 대우조선이 지닌 특수성 등으로 인해 섣불리 매각 방침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김 부총재는 "산업정책적 측면 등을 고려해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을지 결정할 것"이라면서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을 계속 소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지 아니면주인이 바뀌는 게 좋은지 등을 포함해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대우조선이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한 조선업체인 만큼 공개매각시 해외로 기술유출이 우려되는 데다 옥포조선소 내 군함과 잠수함 등을 만드는 방산 부문이 함께 있어 매각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우조선의 한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이 외국기업에 팔린다면 (기술 유출로 인해)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3대 조선업체가 모두 생사기로에 놓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산은에서는 국내 자본에 대우조선을 매각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으나 이럴 경우 외국의 반발 등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은의 한 관계자는 "WTO(세계무역기구) 체제에서 기술유출을 이유로 국내자본에 한정해 제한경쟁입찰을 하는 것은 쉽게 용인되지 않고 있다"면서 "또 외국기업이방산 부문 철거 또는 분리 후 매각 등을 요청할 경우 내세울 명분이 마땅치 않다"고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예외조항을 두면 가격이 하락할 수 있는 데다 국내 독과점문제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대우조선은 올해 매출 규모가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환율 하락과 공사손실충당금 등으로 인해 올 1.4분기 1천415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는 등 고전을 겪고 있어 이익을 극대화하기위해 매각 시기를 내년으로 늦출 가능성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산은 관계자는 "산은이 독자적으로 매각을 결정하기는 어렵다"면서 "매각시기,방안 등은 추이를 봐가면서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