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최대 800km 주행 가능한 리튬공기 이차전지 개발

KAIST-경기대 공동연구팀, 나노섬유ㆍ그래핀 복합촉매 개발

차세대 초고용량 전지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핵심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는 신소재공학과 김일두·전석우 교수와 경기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박용준 교수 공동연구팀이 나노섬유·그래핀 복합촉매를 개발하고 리튬공기 이차전지에 적용해 리튬이온 이차전지 보다 용량이 5배 높은 ‘리튬공기 이차전지’를 제조하는데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방사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코발트산화물 나노섬유와 그래핀을 섞어 나노 복합촉매를 개발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나노 복합촉매를 리튬공기 이차전지의 양극에 적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용량의 5배에 달하는 1000mAh/g 이상의 고용량에서도 80회 이상의 충ㆍ방전이 가능하도록 했다.

김일두 교수는 “이번에 확보한 충·방전 특성은 현재까지 보고된 성능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금속 산화물과 그래핀을 소재로 활용했기 때문에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며 “상용화에 성공해 전기차에 적용하면 한 번 충전에 800㎞이상 주행할 수 있어 서울~부산 왕복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구본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