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대통령 전용기 회항원인 美보잉에 조사 위탁

靑경호처 등 대책회의… “계약부분 논의 없어”

청와대 경호처는 사상 초유의 대통령 전용기(공군 1호기) 회항 사태와 관련, 고장의 원인과 책임 소재를 정확히 가리고자 전용기를 제작한 미국 보잉사에 조사를 맡기기했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16일 정례브리핑은 통해 청와대 경호처가 전날 오후 공군과 대한항공 고위 관계자들을 청와대로 소집해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최대한 객관적인 방법으로 사고 원인을 입증해 빠른 시일 내에 결과를 발표하자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특히 객관성 확보를 위해서는 이번 사고와 관련성이 없으면서 고도의 전문성을 가진 기관이 조사의 주체가 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대한항공이 전용기(B747-400) 제작사인 보잉사에 조사를 맡기기로 했다고 김 대변인이 전했다. 이는 이날 회의에 참석한 기관들이 모두 전용기 관리에 크든 작든 책임을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은 실제 정비를 담당하고, 공군은 정비를 감독하고 있으며, 경호처는 전용기 운영의 총괄책임이 있다. 이와 함께 경호처, 공군, 대한항공은 객관적이고 정확한 조사 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냉정하게 책임을 묻고 빈틈없는 재발 방지책을 마련키로 했다. 김 대변인은 “(전용기 회항과 관련) 객관적이고 정확한 원인 분석과 병행해서 정비 및 안전 점검을 강화키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대통령 전용기가 2001년식으로 최신형 기종이 아닌데다 다수의 공식 수행원과 취재진까지 수용하기에는 크기가 작아 G20(주요20개국) 국가 원수의 전용기로 부족한 면이 있어 계약 해지 가능성 등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계약과 관련된 부분은 전혀 거론된 바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