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韓·美 북핵문제 "공동보조"

美,盧대통령 LA연설 이슈화하지 않기로

브라질 상파울루를 방문중인 노무현 대통령이 18일 오전(한국시간) 트랜스 아메리카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일류상품 전시장을 방문, 출품작을 둘러보고 있다. /오대근기자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은 오는 20일 칠레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한ㆍ미 양국이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보조를 취한다는 요지의 공동 언론발표문을 발표할 것이며 노 대통령의 로스앤젤레스 연설 내용에 대해 미국측이 이견을 제기하는 일은 없을 것으로 18일 알려졌다. 이번 한ㆍ미 정상회담은 남미를 순방중인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로스앤젤레스 연설에서 “체제수호를 위해 핵을 개발한다는 북한측 주장에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 취지의 발언을 해 내외에 파장을 일으킨 가운데 이뤄지는 것이라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와 관련 한ㆍ미 관계에 정통한 외교 소식통들은 당초 우려와는 달리 “미국측이 노 대통령 연설을 이슈화하는 것을 회피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미 백악관 고위관계자는 17일 부시 대통령의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에 관한 브리핑에서 노 대통령의 연설에 대한 질문이 쏟아지자 “한ㆍ미간 입장에 ‘공통점이 많다’며 ‘한ㆍ미 양국이 같은 입장(on the same page)’이라고 강조한 것으로 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노 대통령이 로스앤젤레스에서 연설 후 열린 제임스 한 LA시장 주최 만찬에 참석한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도 한승주 주미대사에게 “우리의 시각과 같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로이터 통신도 이날 미 행정부 한 고위관계자가 한국과 중국 정부 지도자들과 관리들이 미국에 대해 더 유연성을 보일 것을 촉구하는 것에 관한 질문에 “한국과 중국 지도자들 및 관리들이 하는 말의 전체 맥락을 보면, 또 이들과 대화에서 직접 하는 말을 들으면 우리는 분열거리를 찾아볼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미 국무부가 노 대통령의 연설 후 4일만인 이날 한국 언론사 특파원들에게 내놓은 공식 논평도 "우리는 노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우리가 믿건대 미국의 동맹과 우방들 뿐 아니라 전 지구적인 비확산 노력에 위협이 되는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을 촉구한 점을 주목한다"는 등 공통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미 국무부는 이날 한국 특파원들에게 배포한 논평 말미에 “노 대통령의 연설에는 우리가 한국의 고위 관리들과 가까운 장래에 토론을 갖길 바라는 요소들이 있다”고 적시, 노 대통령의 로스앤젤레스 연설이 당장에는 문제가 안돼도 부시 2기의 내각진용이 짜여질 쯤엔 한ㆍ미간 분란의 요소로 등장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정부의 한 핵심관계자는 “한ㆍ미 양국은 북핵 문제와 관련 전략과 비전을 공유하고 해법에 대해서도 인식을 같이 하고 있지만 처해 있는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접근 방식이 약간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