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휴대인터넷 세상] <중> 휴대인터넷-WCDMA 시장중복도 '도마위에'

‘와이브로와 WCDMA의 함수관계는?’ 와이브로는 무선랜과 이동통신의 중간에 위치하는 ‘브리지’ 서비스로 지칭된다. 노트북PCㆍPDA로만 이용하던 무선랜에 필적하는 전송속도를 보장하는 데다 휴대폰 겸용으로도 쓸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속 데이터통신을 특징으로 하는 3세대 이동통신 WCDMA와의 시장 중복 문제가 제기된다. WCDMA는 지난해 말 상용화됐지만 제대로 투자가 이뤄지지 않은 채 시범서비스 수준에 머물고 있다. WCDMA는 한층 진보된 기술인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에 대한 투자가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2006년부터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와이브로의 투자시기와 비슷하다. 게다가 와이브로 사업권 획득이 유력한 SK텔레콤은 이미 WCDMA 사업자다. 이 때문에 KT 등 경쟁사들은 SK텔레콤이 와이브로 사업권을 따낼 경우 전파자원 독점이 우려된다고 지적한다. WCDMA와 와이브로가 일부 중복ㆍ경합 관계에 있고 투자시기가 같기 때문에 이미 WCDMA 사업권을 갖고 있는 이동통신사에 와이브로 사업권까지 줘서는 안된다는 논리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와이브로와 WCDMA가 상호 중복되지 않는 서로 다른 시장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WCDMA가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곤 해도 와이브로보다 전송속도가 떨어지고 요금부담이 커 인터넷에서만큼은 경쟁상대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SK텔레콤은 또 WCDMA와 와이브로, 위성DMB까지 동시에 투자할 수 있는 여력을 갖고 있음을 과시하고 있다. 설사 기술중복이 있다고 해도 충분한 투자를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내놓을 수 있다는 게 SK텔레콤의 주장이다. 정통부는 일단 와이브로와 WCDMA가 기술적으로 상충되는 면이 있다며 유선사업자들의 손을 들어주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통부의 이 같은 태도는 WCDMA 투자에 적극적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는 SK텔레콤을 압박하려는 의도가 크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