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46% "위장전입은 중대한 결격 사유"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여론조사… "결정적 결격 사유 아니다" 35.9%<br>김미현 소장 "공직자·정치인, 철저한 자기관리 필요"

고위 공직 후보자들의 잇따른 위장전입 논란과 관련, 국민 절반가량은 이를 '결격 사유'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여론조사기관인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는 전국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4일 '고위직 내정자들의 위장전입'에 대해 여론조사(신뢰도 95%, 오차범위 ±3.1%P)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6%가 '도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위장전입은 중대한 결격 사유'라고 답했다. 반면 '위장전입이 결정적 결격 사유는 아니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응답자의 35.9%였으며, 18%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지역별로는 특히 대전·충청지역에서는 '위장전입이 결정적 결격사유가 아니다'는 의견이(46%) '결격 사유'(31%)라는 응답 비율보다 높았다. 한편 인사청문회의 중요한 검증 사항으로 응답자의 47.6%가 '도덕성'을 꼽았다. 이어 '업무능력'을 꼽은 사람도 43.9%에 달해, 도덕성 못지않게 후보자의 업무능력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KSOI 김미현 소장은 17일 PBS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 출연, "(충청지역의 결과에 대해) 이는 정운찬 총리 후보자에 대한 기대감 때문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대전·충청지역에서는 '업무능력'(55.3%)이 후보자의 '도덕성'(28.2%) 보다 더 중요하다는 의견이 2배나 높았다"며 "국무총리 후보자의 '세종시 재검토 필요' 발언 이후 충청권 민심이 좀 까칠하지만, 그래도 전체적으로 정총리 후보자의 대한 기대감은 높은 것 같다"고 평가했다. 김 소장은 "도덕성이나 업무능력이나 참 어려운 문제"라며 "지금 위장전입을 안 한 사람이 없지 않지만, 정치인의 도덕성은 매우 중요한만큼 공직자와 정치인들의 철저한 자기관리가 필요한 것 같다"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