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밝은 빛' 유기-무기 나노구조체 개발

차세대 나노광전자 소자 가능성 열어

밝은 빛을 방출하는 '무기 금속'이 접합된 '유기 플라스틱' 나노 구조체가 처음으로 개발됐다.

22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고려대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체 연구실 주진수 교수팀은 기존의 나노 크기 유기 플라스틱에 나노 크기의 무기 금속을 접합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구조체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화학회에서 발간하는 저명한 과학전문지인 '화학회 총설(Chemical Society Reviews)' 최신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주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 구조체는 기존의 나노 크기 발광 플라스틱에 비해 발광 효율은 최대 300배, 발광 수명은 최장 1년 이상에 달하는 등 더욱 밝은 빛을 발산하면서도 수명이 긴 것이 특징이다. 이는 기존의 발광 플라스틱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통해 구현됐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이란 나노 구조의 금속에서 빛의 전자기장과 금속 내의 자유전자가 집단적으로 진동하면서 광흡수가 일어나 국소적으로 매우 증가된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이번에 발광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구조체를 향후 광전자 소자에 응용하면 낮은 전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창출할 수 있는 신개념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플라스틱의 유연성과 경량성으로 에너지가 절감됨과 함께 상온 공정이 가능하고 생산 단가가 저렴해 대량 생산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구조체는 향후 꿈의 디스플레이라고 불리는 '아몰레드(AMOLEDㆍ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휘어지는(flexible) TV, 차세대 대체 에너지인 유기 태양전지, 바이오센서 등과 같은 차세대 광전자 소자에 적용돼 획기적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