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與 ‘홍준표 체제’ 붕괴…박근혜 전면 나설듯(종합)

유승민ㆍ남경필ㆍ원희룡 잇따라 최고위원직 사퇴…리모델링ㆍ재창당 놓고 격론

한나라당 유승민ㆍ남경필ㆍ원희룡 최고위원 3인이 7일 동반사퇴하면서 ‘홍준표 체제’가 사실상 붕괴됐다. 이에 따라 박근혜 전 대표가 당 전면에 복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박 전 대표의 역할론을 놓고 친박(친박근혜)계 내부에 찬반 논란이 있는데다 향후의 당 진로를 둘러싸고 비상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회, 전당대회, 재창당위원회 등 백가쟁명식 논의가 쏟아져 나오면서 극심한 진통이 예상된다. 친박 유승민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최고위원직 사퇴를 선언했다. 그는 “지도부의 한 사람으로서 존망의 위기에 처한 당을 구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물러난다”면서 “한나라당에 대한 국민 여러분의 절망과 분노 앞에 참담한 마음으로 저희의 잘못을 사죄한다”고 밝혔다. 원 최고위원도 기자회견에서 동반사퇴를 선언하면서 “최고위원들이 부질없는 행동을 하지 말고 또 미련을 버리고 한나라당을 해체해 새로운 정치운동의 길을 여는데 역할을 다하자”고 제안했다. 남 최고위원은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당 지도부가 총사퇴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3인의 동반사퇴는 10ㆍ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 디도스 사태 등으로 총체적 위기에 직면한 한나라당이 현 체제로는 도저히 위기를 수습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수도권 소장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이대로는 내년 총선은 해보나 마나 필패”라는 위기감이 커지면서 재창당론, 선도탈당론까지 일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원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당을 해체하는 운동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앞으로 ‘홍준표 체제’ 이후 비대위 또는 선대위를 구성할 것이냐 아니면 전당대회를 치를 것이냐를 놓고 극심한 내홍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당 일각에선 박 전 대표와 외부인사가 참여하는 비대위나 선대위 구성을 주장하고 있으나 다른 일각에선 아예 전당대회를 통해 새로운 지도부를 뽑자는 입장을 갖고 있다. 또 다른 한편에선 재창당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일부 당권파 인사는 전당대회 수임기구인 전국위원회를 통해 최고위원 3명을 추가로 선출해 새 지도부를 구성한 뒤 홍 대표가 박 전 대표에게 전권을 물려준 뒤 물러나는 방안도 거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홍 대표 즉각사퇴에 대한 압박이 거셀 것으로 보여 ‘홍준표 체제’ 붕괴는 시간문제라는 관측이 나온다. 홍준표 대표는 최고위원 3인의 동반사퇴에 대해 “본인들의 판단”이라면서 “사퇴하고 난 뒤에 보자”며 말을 아꼈다. /온라인뉴스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