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李교육부총리 의혹 연일 '눈덩이'

'靑 인사시스템' 도마 올라<br>충남탕정에도 부동산 보유… 해명할수록 역풍<br>"국정지지도에 치명적" 與일부서 문제 제기도

이기준 교육부총리에 대한 의혹이 연일 꼬리를 이으면서 청와대의 ‘취약한 인사시스템’이 도마에 오르는 등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는 이를 진화하기 위해 정찬용 인사수석, 이병완 홍보수석 등이 전면에 나서서 해명하고 있지만 오히려 의혹을 증폭시키는 등 ‘역풍‘에 휘말리고 있다. 청와대가 이기준 부총리에 대한 인사를 거둘 의사가 없음을 거듭 밝히고 있지만 열린우리당 내에서는 ‘이기준 파동’을 예의 주시하면서 정권에 어떤 부담을 줄지 주시하고 있다. 정봉주 의원이 개인 자격으로 이기준 인선에 대해 문제를 공식 제기한데 이어, 여당 내에 배포된 내부 문건에서도 “(경제에 올인 하려는)와중에서 이기준 부총리의 도덕성에 대한 문제가 이슈로 급격히 부상하면서 정권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문건은 이어 “BH(청와대)가 임명을 재고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했지만, 또 다른 문제점이 드러날 경우 상승기류를 타고 있는 국정지지도에 치명적인 상처가 될 수도 있다”고 진단하고 있는 형편이다. 7일 이 부총리의 장남이 한국국적 포기 직후 이 부총리가 소유한 경기 수원 땅에 신축한 건물의 소유주로 등기된 것으로 알려진 것에 대해 박정규 청와대 민정수석은 “검증 과정에서는 본인ㆍ배우자ㆍ부부 공동명의로 된 것들만 보기 때문에 장남 명의의 건물이 있었는지는 파악하지 못했다”며 “특히 이번 내각 인사 때 3일 동안 30명이나 검증했는데 어떻게 직계존비속 재산까지 검증할 수 있겠느냐”고 푸념을 늘어놓았다. 박 수석은 또 기자들을 만나 “우리가 검증할 때는 본인과 배우자만 한다”면서 “아들 부동산은 체크하지 않아 이번에 검증할 때는 안 나왔다”고 확인했다. 그러나 이 같은 해명은 청와대가 단기간에 무리하게 인선 과정을 처리했음을 시인한 것으로 반대 여론에 기름을 끼얹는 꼴이 되고 말았다. 인터넷 게시판에는 “청와대 인사가 총체적인 위기에 처했다.” “어떻게 그렇게 졸속으로 인사를 할 수 있는가”라는 등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병완 홍보수석은 지난 6일 “(이기준 부총리는)청빈한 분이라 집 한 채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 부총리를 두둔했다가 호된 비판을 듣고 있다. 오히려 이 부총리는 수십억원대의 재산을 소유하는 등 청빈과는 거리가 먼 인물로 속속 드러나고 있다. 한국 국적을 포기한 아들이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데다, 이 부총리 역시 기업도시가 들어서는 바람에 땅값이 폭등한 충남 탕정면에도 부동산을 보유하는 등 재산 규모는 최저 23억원에서 최고 67억원으로 추정된다는 폭로성 보도가 잇따르면서 의혹이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기준 파동이 가라앉기도 전에 청와대는 또 6일 노무현 대통령의 핵심 참모인 안희정씨의 대선자금 문제를 변호한 김진국 변호사(41)를 신임 법무비서관으로 임명, 의혹을 일으키는 무리수를 두는 등 ‘청와대발 인사파동’이 좀처럼 가라앉을 분위기가 아니다. 청와대는 지난해 5월에도 안희정씨를 변호한 전해철씨를 민정비서관으로 임명한 바 있다. 이로써 민정수석실은 노 대통령과 고시공부를 같이 한 박정규 민정수석, 부산상고 1년 후배인 오정희 공직기강비서관 등 대통령과 측근의 주변 인사들로 모두 채워지게 됐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내가 논평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면서도 “업무의 적합성을 중심으로 판단한 인사”라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