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특혜 같은 지원

“국내 인터넷 업체들은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정부가 세금으로 세계적인 포털 업체 구글의 인재 채용을 지원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N사 대표) “정부가 구글 대신 월급을 주는 게 무슨 ‘연구개발(R&D) 센터 유치’라고 말할 수 있냐.”(E사 대표) 구글이 국내에서 연구개발(R&D) 센터를 운영하기 앞서 정부 지원 아래 인력 확보에 나서자 포털 등 대다수 인터넷 업체들이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 방안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정부는 구글의 R&D 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정보기술(IT) 관련 직원에 한해 2년 동안 12억5,0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1인당 연봉 3,000만원 한도 안에서 80%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채용하는 IT 관련 직원들이 모두 3,000만원 이상의 연봉을 받는다고 가정할 때 26명의 직원 봉급을 2년 동안 구글이 아니라 정부가 부담하는 셈이다. 이런 지원 규모가 그리 큰 것은 아니라고 강변할 수도 있다. 구글이 한국에 R&D 센터를 설립한다는 것은 외자 유치나 국내 IT산업 발전을 위해서도 큰 성과라고 할 수도 있다. 국내 검색기술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검색’은 현대사회의 가장 획기적인 발명품이자 무기다. 과거 로마가 모든 역량을 도로 건설에 집중해 제국을 건설했듯 현대 정보화사회에서는 ‘검색’이 새로운 인류 역사를 이끌어나갈 ‘도로’나 마찬가지다. 검색은 문자ㆍ그림ㆍ동영상ㆍ소리 등 모든 형태의 정보를 일순간에 찾아볼 수 있는 통로이자 수단이다. 전세계적으로 검색 분야에서 미국에 맞설 정도의 기술력을 확보한 곳은 한국 등 일부에 불과하다. 이처럼 국내 업체들이 구글에 맞서 보다 뛰어난 ‘검색’기술을 개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는 마당에 정부가 굳이 구글에 파격적인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었을까. 첨단 R&D 센터를 유치하는 것도 좋지만 ‘형평성을 외면한 지원’이라는 업체의 비난도 전혀 무시할 수는 없을 것 같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