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명박 "현대차 노조원 파업 납득못해"


이명박 서울시장은 고임금을 받는 현대차 노조원들이 왜 파업을 하는지 납득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퇴임을 앞둔 이 시장은 2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언론사 경제부장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현대차 국내 공장 노조원들은 미국 앨라배마에 있는 현대차 직원들보다 연간 1만달러 정도 급여를 더 받고 있다”면서 파업에 아무런 정당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나라는 기업의 상속세가 너무 무거워 법을 지키면서 상속할 경우 2~3대면 기업이 문을 닫거나 매각될 수밖에 없다며 기업의 상속세를 대폭 낮춰 부담 없이 상속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기업이 계속 살아남으면서 고용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기업의 상속과 다른 자산의 상속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차기 대통령으로 여성 대통령이 탄생할 가능성과 관련해 그는 “국가가 위기상황이냐 안정된 상태냐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즉답을 피하면서도 “미국에서는 아직 여성 대통령이 시기상조라는 여론이 우세한 것 같더라”며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겨냥한 ‘여성 대통령 시기상조론’을 우회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복지의 근본은 일자리 창출이며 이를 위해서는 자영업이나 소기업이 잘돼야 한다면서 첨단 대기업은 고용효과가 생각만큼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시장은 또 “우리나라는 발전 모델로 인구가 몇 백만명밖에 안되는 핀란드나 싱가포르 등 첨단ㆍ지식산업 위주의 국가들에서 찾아서는 안된다”며 “남북한을 합해 인구가 7,000만명인 것을 고려할 때 첨단ㆍ지식산업과 제조업의 균형된 발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