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서울을 '더블린형'금융도시로

펀드 후선업무회사에 稅혜택·금융 IT사 유치<br>채권시장 확대위해 투기등급 ABS발행 허용


금융허브 세부 전략에는 서울을 전세계 자산운용사들의 영업 근거지로 만들겠다는 이른바 ‘더블린형 도시’ 육성방안과 노무라증권의 성공ㆍ실패 사례를 벤치마킹, 국내 증권사 중 1~2곳을 선도 투자은행(IB)으로 만들겠다는 복안이 담겼다. 다만 외국자본에 대한 과세강화 등 이번 전략과 충돌하는 정책들도 쏟아지고 있어 ‘손님(외국 투자가) 없는 허브 그림’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적지않다. ◇서울을 더블린ㆍ에딘버르로 만든다=정부가 허브를 위한 핵심 도구로 삼은 것이 자산운용업의 육성이다. 정부는 외환보유고 가운데 300억달러 규모를 한국투자공사(KIC)를 통해 외국 자산운용사 등에 운용을 맡길 예정인데 이를 외국사의 국내 유치 미끼로 삼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KIC 사장이 외국회사를 끌어들이지 못하면 경질하기로 했다. 외국사를 끌어들이기 위한 또 하나의 포석이 서울을 영국 에딘버르나 아일랜드의 더블린과 같은 도시로 만들겠다는 것. 이들 도시는 펀드와 관련한 후선업무(백오피스) 기능을 담당하는 회사들이 밀집돼 자연스럽게 자산운용업의 중심지가 됐다. 백오피스를 설립하는 곳에 세제상 혜택을 주고 금융 IT업체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외국업체들을 끌어들이는 동안 국내 증권사들의 대형화 전략에도 탄력을 붙일 방침이다. 재정경제부는 일본 노무라증권을 모델로 삼았다. 노무라는 지난 80~90년대 중반 글로벌 투자은행을 지향하며 해외시장 진출을 시도했으나 98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해외 부문 적자로 국제화 전략을 포기, 국내로 회귀했다.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노무라가 국제적 전략을 포기한 것은 해외 네트워크 구축에 실패한데다 일본 내 자본시장 발전이 수반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우리는 그 같은 전철을 밟지 않겠다고 밝혔다. ◇투기등급도 ABS 발행 가능=정부가 자산운용업과 함께 심혈을 기울이는 부분이 채권시장이다. 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는 40%를 넘는 반면 채권투자 규모는 전체의 0.48%에 불과할 만큼 기반이 극히 허약하다. 국내 조달금리가 국제금리에 비해 경쟁력이 없는데다 신용평가기관마저 없어 외국 투자가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전략은 국내 투자자들의 자생력을 키우고 외국 투자가들을 유인할 수 있도록 시장 여건을 끌어올리는 데 핵심을 뒀다. 우선 시장의 절대적인 파이를 키우기 위해 신용등급이 투기상태인 기업들도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지금은 금융기관 및 BBB 이상 기업만 발행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도 정크본드 시장이 자연스럽게 커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원화를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통화로 만드는 작업도 수반된다. 2002년 현재 비거주자의 원화채권 발행액은 2억달러 규모. 홍콩이 230억달러, 싱가포르가 51억달러였던 점과 비교해 턱없이 적다. 이에 따라 비거주자들의 원화채권(아리랑본드) 발행이 쉽도록 관련 절차를 확 바꿀 계획이다. 선물과 옵션시장에 대한 외국인들의 진출을 늘리는 전략도 마련된다. 정부는 국채선물에 대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투자승인을 면제해줄 것을 요청하기로 했다. 이 경우 미국 내 투자자들이 우리 증권선물거래소의 국채선물과 옵션을 직접 거래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