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연초 물가 '빨간불'

연초 물가 '빨간불' 1월 소비자물가 1.1% 급등…공공료 억제등 대책 연초부터 물가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1월 중 소비자 및 생산자물가가 농ㆍ축ㆍ수산물 가격과 공공요금 등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급등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31일 진념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주재로 물가대책 장관회의를 열고 전ㆍ월세 안정, 보험약가 인하추진, 공공요금 인상 억제 등의 물가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31일 재정경제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1월 중 소비자물가는 지난달에 비해 1.1%나 올랐고 생산자물가도 0.5%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월에 비해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가 각각 4.2%, 2.3%나 오른 것이다. 농산물ㆍ석유류 등 가격변동이 심한 품목을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도 지난달에 비해 1.1%나 올라 지난해 1월과 대비해서는 4.1%포인트나 상승했다. 이 같은 물가급등은 1월에 의보수가 등 공공요금이 큰 폭으로 오른데다 폭설에 설 수요가 집중되면서 농ㆍ축ㆍ수산물 가격이 폭등했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의 주요 상승요인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농ㆍ축ㆍ수산물 가격이 0.40%포인트로 가장 큰 상승요인이 됐고 의보수가 0.32%포인트, 공공요금이 0.25%포인트를 차지했다. 정부는 이날 물가대책 회의에서 국내 석유시장의 경쟁체제를 강화, 석유류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기존 폴사인제(한 주유소에서 한 상표의 유류만을 취급)를 개선해나가기로 했다. 또 임대주택 공급확대를 통한 전ㆍ월세가격 안정을 위해 임대주택사업자에게 '간주임대료'에 대한 소득세 비과세 등 세제ㆍ금융상의 혜택을 주기로 했다. 의약품 가격안정을 위해 정부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의 의약품 실거래가 실사결과를 토대로 2월 중 보험약가 인하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새학기 납입금 부담경감을 위해 국ㆍ공립대 납입금은 5% 이내에서 인상을 최소화하고 사립대는 교육부에서 재정지원과 연계해 안정을 유도하기로 했다. 정부는 공공요금 안정을 위해 공기업의 공공요금 인상요인은 최대한 자체 흡수하도록 유도하고 인상이 불가피하더라도 하반기 이후 인상을 추진하기로 했다. 물가상승의 주범이 되고 있는 지방공공요금을 안정시키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물가안정 노력을 지방교부세 산정시 반영, 우수 자치단체에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했다. 오갑원 재경부 국민생활국장은 "96년부터 지난해 5월까지 1월 물가상승률이 평균 0.8%에 달하는 등 1월에는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라며 "2월부터는 점차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