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6월 21일] 청와대 새 비서진 '소통'에 충실해야

이명박 대통령이 단행한 큰 폭의 청와대 비서실 개편은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강한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실장까지 개편에 포함되는 등 폭이 예상보다 커진 것은 ‘극단의 처방’만이 국민의 불만을 잠재울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선 정치 및 행정 경험이 많은 인사를 발탁한 것은 긍정적이다. 새 비서진은 기존 비서진을 거울삼아 대통령이 국정을 원활히 수행하도록 돕는 ‘그림자’ 역할에 충실하기 바란다. 전임 청와대 비서진은 재산형성 등 검증과정에서 말이 많았던데다 정치 및 행정 경험이 없는 학계 인사 등이 중심이 됐기 때문인지 현실감각이 너무 부족했다. 예를 들어 기밀문서 관리와 사무를 담당하는 것이 주요 업무인데 이조차 모르는 것 같았다. 일부 수석비서관은 정책집행자인 장관처럼 행세하기도 했다. 자연히 내각은 청와대의 눈치를 보는 등 무력해지고 정책이 힘을 받지 못했다. 대통령이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집회로 흔들리고 대선 때 중요 공약인 ‘대운하 건설’을 사실상 포기하는 등 고민을 거듭할 때까지 비서진은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 것으로 비쳐졌다. 대통령의 통치는 민의를 바탕으로 이뤄지는 정치인데 청와대에는 정치가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만과 독선으로 국민의 소리에 귀를 막아 ‘소통’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지적까지 나왔다. 국정이 겉돌고 난맥상태에 빠진 원인도 이런 데 있다. 청와대 새 비서진은 대통령이 통치를 원활히 하도록 돕는 보좌 역할에 충실해줄 것을 거듭 당부한다. 조용히 민의를 살피고 대통령이 이를 통치에 반영하도록 건의 및 조정하는 ‘소통’ 역할이 주요 업무가 돼야 한다. 이런 면에서 정치인과 행정 경험 등이 풍부한 인사가 포함된 것은 다행스럽다. 청와대 비서관은 대통령을 가까운 거리에서 보필하기 때문에 권력의 유혹에 빠지기 쉬우므로 항상 자기관리가 필요하다. ‘실세’니 ‘왕수석’이니 하는 말이 나오거나 장관처럼 행세해도 곤란하다. 자기를 내세우기보다는 조용히 대통령과 내각이 맞물려 국정이 원활히 돌아가도록 돕는 윤활유가 되겠다는 기본자세가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