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인터넷뱅킹 7월시행 못한다

오는 7월1일부터 전자서명의 법적 효력이 인정되면서 전자상거래 기반이 완료되지만 시중은행들의 「인터넷 뱅킹」은 당분간 시행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아직 보안시스템이 미흡하기 때문이다.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7월1일에 맞춰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개통하기 위해 그동안 작업을 벌여왔으나 최근 보안 시스템 미비를 이유로 시행시기를 늦추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H은행 관계자는 『인터넷 뱅킹을 위한 시스템은 이미 구성해 놓았지만, 적절한 보안 시스템을 찾을 수 없어 서비스 일정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 뱅킹은= 인터넷 뱅킹이 시행되면 기업이나 개인들은 은행에 가지 않고도 컴퓨터 접속을 통해 계좌이체나 해외송금, 데이터베이스 조회, 예금·대출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해외 각국에 포진하고 있는 대기업 지사들은 국내 은행과 리얼타임(실시간)으로 거래를 할 수 있어 가장 큰 수혜집단이 될 전망이다. 제일은행과 서울은행을 인수하는 외국 금융기관들은 그동안 인터넷 뱅킹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국내에 도입,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 뱅킹은 시중은행이 그동안 서비스해온 전용회선 방식의 PC뱅킹과는 달리 전세계를 향해 열린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해커들이 이에 접속, 전산망을 조작할 경우 대형 금융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존한다. ◇방화벽 마련이 관건= 해커들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보안장치를 「방화벽(FIRE WALL)」이라고 부른다. 은행들은 아직까지 쓸만한 방화벽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인터넷 뱅킹을 예정대로 시행하기 어렵다고 밝히고 있다. 현재 국내 보안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은 제품은 시큐어소프트사(社)의 「시큐어 실드」 뿐이다. 이밖에 2~3개 제품이 심의를 받고 있으나 언제 시장에 나올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방화벽을 설치한 뒤 최소한 6개월 이상 시험가동하면서 점검해야 하지만, 제품 선정조차 못하고 있어 인터넷 뱅킹 시행 여부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른 은행의 전산담당 책임자는 『국내 개발된 방화벽이 일반 전자상거래에서는 어떨지 모르지만 금융기관의 특성을 감안한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면서 『관계당국과 제품개발업체, 금융기관이 공동으로 성능평가행사를 갖자』고 제안했다. ◇은행-당국간 책임공방= 은행들은 『정보통신부 등이 보안시스템 개발업체 지원 등 실무작업을 소홀히 하는 바람에 전자상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금융분야 일정이 흔들리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외국산 제품의 경우, 국가보안문제 때문에 수입이 사실상 막혀 있다. 마스터 키(MASTER KEY)를 정부기관에 맡겨야 하기 때문. 미국의 개발업체들은 국방성에 마스터 키를 보관하고 있다. 정보통신부 관계자는 『7등급으로 분류된 보안기준 가운데 4등급 이상이면 무리가 없는데 은행들이 과욕을 부리고 있다』고 말한다. 국내에서 개발된 제품은 모두 4등급 정도여서 보안에 문제가 없으며 조만간 2~3개 제품이 인증을 받으면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정통부의 설명. 그러나 은행들은 『기술적 기반도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법 시행만 앞서 간 것은 명백한 탁상행정의 소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상복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