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희생자 유실 막아라" 전담반 구성

침몰지점 반경 8km 안팎 수색

위성으로 위치 추적 부표 투입

세월호 실종자의 시신 유실 가능성이 커지자 구조당국이 전담반(TF)을 구성해 대응에 나섰다. 구조작업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물살이 빨라지는 사리까지 닥칠 경우 시신 유실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범정부사고대책본부는 28일 해경과 경찰(육경), 육군, 소방방재청, 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희생자 유실 방지를 위한 전담반을 꾸렸다고 밝혔다.


전담반은 세월호 침몰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8㎞가량을 주요 작전구역으로 정하고 수색작업과 함께 시신 유실 방지에도 대비를 하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수습된 시신 가운데 45구 이상이 선내가 아닌 여객선 밖에서 인양됐고 소조기가 끝나면서 진도 해역의 물살이 다시 급해지는 사리를 맞아 실종자의 유실 가능성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관련기사



대책본부는 지금까지 사고 해역 인근을 3단계로 나눠 그물망 설치와 어선을 이용한 수색활동을 펼쳐왔다. 먼저 사고 지점에서 동남쪽으로 7㎞ 떨어진 곳에 어민들이 기존에 설치해놓은 5㎞ 폭의 닻자망 그물을 활용하고 있다. 사고 해역으로부터 8∼15㎞ 떨어진 구간에는 지난 19일부터 쌍끌이 어선 8척이 수색을 하고 있다. 또한 서해어업관리단 소속 어업지도선 3척이 사고 해역 외곽 신안 가거도와 추자도 해역(40∼60㎞)을 수색하고 있다. 맹골도와 거차도 등 인근 섬 해안가 쪽은 전담반이 꾸려지는 대로 수색을 펼칠 계획이다.

또 혹시 떠내려갔을지도 모르는 시신의 이동 방향 예측을 위해 위성으로 위치 추적이 가능한 '표류부이(Floating buoy)'도 사고 해역에 투하한다. 표류부이는 해수면에 떠다니며 풍향과 풍속, 기온, 기압, 해수 온도, 위치, 표층류 등을 관측할 수 있는 부표다. 이와는 별도로 주변 해역에 시신 등이 떠밀려올 것에 대비해 경비정과 어선, 헬기 등을 동원한 해안순찰도 강화된다.

범정부사고대책본부 관계자는 "시신 유실에 대비해 일본과 중국에 신원불상 시신이 떠밀려오면 연락해줄 것을 요구하는 등 국제공조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