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고물가시대 "필요한 물건만 가까운 곳에서"

계획구매 증가등 소비패턴 변화… 신세계 조사결과, 외곽 대형마트는 매출 감소도

고물가시대 "필요한 물건만 가까운 곳에서" 계획구매 증가등 소비패턴 변화… 신세계 조사결과, 외곽 대형마트는 매출 감소도 이재용 기자 jylee@sed.co.kr 고물가와 고유가로 소비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필요한 물건만 구입하는 계획구매가 증가하는 등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세계가 23일 전국 7개 백화점과 114개 이마트의 올 상반기 소비 패턴을 분석한 결과, 백화점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증가한 반면 이마트 매출은 이보다 낮은 7% 성장에 그쳤다. 서민들이 주로 찾는 재래시장 역시 극심한 매출 감소를 보이는 등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소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올 상반기 동안 백화점에서 1,500만원 이상을 소비하는 VIP 고객들은 지난해보다 35% 가량 늘었고 5월과 6월 명품 매출도 각각 38%, 46% 신장하는 등 가격에 구애 받지 않는 소비 행태가 확산됐다. 반면 저렴한 상품을 찾는 고객도 늘어 신세계 백화점이 사전기획을 통해 가격을 낮춘 ‘굿 초이스’ 상품의 한 아이템 당 월 평균 매출이 1,000만원에 달했다. 이마트의 PL(자체브랜드) 상품에서도 양극화가 나타나 일반 제품과 가격이 동일한 ‘이마트’ 상품은 매출이 2.8%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일반 제품보다 25~30% 비싼 ‘베스트 셀렉트’와 20~40% 저렴한 ‘해피 초이스’ 매출은 각각 42.1%, 14.4% 늘었다. 꼭 필요한 물건만 사려는 소비자들의 계획 구매도 두드러졌다. 전단 상품의 매출 구성 비율은 지난해 4월 15.4%에서 올해 4월 12.8%로 감소했는데 이는 사전에 구매를 계획한 상품이 아니면 가격이 싼 전단 상품이라도 거들떠보지 않기 때문이라고 신세계는 분석했다. 쇼핑하기 전 구매할 상품을 꼼꼼하게 챙기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고객이 매장에 체류하는 시간도 지난해 평균 2시간에서 올해 1.5시간으로 줄었다.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PL 상품의 매출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PL 상품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1월 11.3%에서 3월 16.6%, 5월 19.5%, 7월 20.0%로 꾸준히 늘었다. 이와 함께 차를 타지 않고도 갈 수 있는 근거리 점포의 매출이 강세를 보였다. 이마트의 경우 반경 3km 안에 상권이 집중된 산본, 동백, 경남 양산점, 광명, 신월, 수서점 등 이른바 ‘포켓 상권’ 점포들은 올 상반기 10% 안팎의 신장률을 보인 만면 양재, 창원, 부산 사상점 등 시 외곽의 점포들은 소폭 역신장세를 기록했다.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의 노은정 박사는 “올 하반기에는 스태그플레이션이 가시화되면서 본격적인 소비 부진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며 “계획 구매와 근거리 구매, 소량 구매 등의 경향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