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구제역 재앙' 막을 특단대책 시급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피해가 천문학적으로 커지자 결국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구제역 문제를 챙기고 나섰다. 이 대통령은 6일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근본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때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이제라도 구제역이 더 이상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강구돼야 한다. 현재 구제역 발생지역은 경남ㆍ전남을 제외한 6개 시도에 100곳을 넘어섰다. 살처분된 소와 돼지 수는 무려 94만8,000마리에 달해 전체 가축 수의 6.9%에 이르고 있다. 살처분에 따른 보상금을 포함해 직간접 피해액은 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구제역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자 마지막 수단인 백신접종에 나섰지만 항체 마련에 2주일이 걸리는데다 백신도 바닥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한파로 소독약 살포 등 방역작업에도 어려움이 계속되는 가운데 설 연휴 대이동을 눈앞에 두고 있어 추가 확산 가능성이 크다. 축산업은 붕괴 위기를 맞고 통행제한 조치에 따라 각종 행사가 최소됨에 따라 관광도 위축돼 지역경제에 타격이 커지고 있다. 이번 '구제역 재앙'은 정부와 축산농가, 그리고 정치권 등의 무감각이 만들어낸 '합작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동남아 등 구제역 위험국가를 방문하고도 검역을 제대로 받지 않은 축산관계자, 구제역 발생 직후 초동대처에 소홀했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구제역 예방대책이 포함된 '가축전염예방법' 개정안 심의를 팽개친 국회 모두 이번 구제역 사태에 대한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가축전염예방법 개정안은 지난해 6월 국회에 발의됐으나 정쟁에 묻혀버렸다. 사람과 물자의 국가 간 이동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글로벌 시대에는 가축전염병도 그만큼 확산되기 쉽다. 그런데도 지난해 외국을 다녀온 축산 관계자 2만6,000여명 중 3분의1 이상이 입국시 검역절차를 밟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공항검역이 얼마나 허술한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이 됐으나 이제라도 구제역 항체 개발을 비롯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축산 관계자의 출입국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 및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정치권 또한 '원포인트 국회'를 열어서라도 가축전염병예방법을 통과시켜 구제역 재앙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협조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