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한국 옛 영토 표시 유럽古지도 특별전

옛 서양지도 속에 나온 우리 국토는 어떤 모습일까. 옛날 우리 국토의 모습이 표시된 유럽의 고지도들을 한자리에 모은 전시회 ‘유럽인(EUROPEAN)의 상상, 꼬레아-서정철ㆍ김인환 기증 서양고지도 특별전’이 오는 9월1일부터 12월26일까지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린다. 이번에 선보일 유물들은 서정철(한국외대 불어학과)ㆍ김인환(이화여대 불문과) 명예교수 부부가 지난 70년대부터 30여년간 수집해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한 것. 이 가운데 16~19세기 한국의 모습이 표시된 고지도ㆍ전적류 약 150점 중 80점을 엄선해 ‘세계관의 확대’ ‘서양고지도 속의 한국’ ‘역사적 진실’ 등의 주제로 전시한다. 특히 최초의 서양식 전도인 프랑스 당빌의 ‘조선왕국전도’를 비롯해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적시한 하야시 시헤이와 클라프로트의 ‘삼국총도’ 등도 선보인다. 당빌의 지도에서는 한중 국경이 지금보다 만주 쪽으로 더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밖에 한국이 반도국임을 입증한 1655년 이탈리아 선교사 마르티니의 ‘중국지도첩’과 18세기 이후 동해가 다양한 언어로 표기된 지도들도 공개된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대항해시대 이래로 유럽인들의 상상 속에 구체화돼가는 우리나라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면서 “특히 이들 지도는 최근 동해나 독도ㆍ간도 문제에 대한 객관적 사료로서의 가치도 높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