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개인 가정서 하루 1시간37분 컴퓨터 사용

또 직장, 학교 등 외부에서의 컴퓨터 사용시간은 평균 3시간7분으로 나타났다.국정홍보처는 지난달 24일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6일 밝혔다. 조사결과 응답자의 66.0%가 가정에 개인용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직장과 학교 등에서 컴퓨터를 사용한다는 응답은 33.1%로 집계됐다. 또 PC 통신이나 인터넷을 해 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40.3%에 달했으나 전자상거래를 이용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8.3%에 그쳤다. PC 통신과 인터넷 이용 목적을 복수 응답케 한 결과 자료검색(74.2%) E-메일(38.5%) 채팅 및 오락(25.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가구당 월 평균 정보통신 지출비용은 2만원 미만 18.5% 2만원 이상 3만원 미만 10.5% 3만원 이상 17.6% 등이었다. 정보화가 가장 빨리 진행되는 분야로는 37.6%가 언론을 꼽았고 금융분야 20.5%, 유통·서비스분야 14.1%, 산업분야 10.6% 등이며 정부·행정분야라는 대답은 9.5%에 불과했다. 한편 학계, 경제계, 언론계 인사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性)문화 여론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77.0%가 우리 사회의 성문화가 매우(14.0%) 또는 약간(63.0%)불건전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왜곡된 성문화의 원인을 묻는 질문에는 29.0%가 남성들의 매매춘을 당연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꼽았다. 잘못된 접대문화(24.0%)라는 응답과 함께 매매춘처벌 부재, 윤락업소와 단속기관 유착 때문이라는 응답도 각각 14.0%를 차지했다. 청소년 성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청소년 매매춘 성인의 신상공개 방식에 대해서는 51.8%가 신문·방송 등 언론매체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응답했다. 고광본기자KBGO@SED.CO.KR

관련기사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