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윤리/손익수 데이콤 명예회장(로터리)

임금 무교섭, 보너스 반납, 임금총액 동결. 최근 「경제살리기」라는 화두를 풀기 위한 근로자와 기업인의 노력을 대변하는 단어들이다. 반면 「한보사태」와 같이 끊이지 않는 각종 비리는 이들의 근로의욕을 상실하게 만들고 있다.정경유착과 권력형 불정축재가 성실하게 묵묵히 일하는 대다수 국민에게 무력감과 허탈감, 배신감을 안겨주는 것이다. 이는 「나만 잘살면 된다」는 이기적인 기업관을 가진 기업주 및 그와 결탁한 정·관계 인사들의 비윤리적 행태가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을 보여주는 예다. 물론 자본주의 체제에서 기업의 목적은 이익 창출이다. 기업의 적자란 사회적 자원의 비효율적 이용을 의미하므로 회사의 파산이란 사회에 대한 일종의 죄악이다. 즉 기업의 목적은 사회와 공생하여 같이 번영해 나가는 것으로 재정리할 수 있다. 이같은 관점에서 탈세, 뇌물, 불공정행위, 허위 과장광고 등 비정상적인 기업활동으로 극소수 주주에게 집중되는 맹목적인 이익추구는 위험천만한 발상이다. 건전한 기업활동 과정에서 얻어지는 이윤만이 기업 본래의 목적과 사회적인 책임을 다하는 의미있는 것이다. 이러한 책임을 다하면서 부를 축적한 기업인들이 칭찬과 존경을 받는 것은 당연하지만, 허위 과장광고로 부당이윤을 챙기거나 투자자들을 유인해 한 몫 챙기려는 악덕 기업주에게는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처벌이 뒤따라야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추진하는 「부패라운드」가 올해 안에 타결될 전망이라고 한다. 21세기 무한경쟁시대를 맞아 우리 기업과 기업인도 사회적 활동과 기업윤리가 대외 장식용이 아닌 국제경쟁력의 핵심요소임을 인식하고 건전한 기업윤리를 확립해야 한다. 기업이익과 기업윤리, 사회적 책임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기업과 사회의 공생의 방정식이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손익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