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골드만삭스, 우리금융 인수전 가세할 듯

지난 2월24일 서울 플라자호텔 대회의실. 12년만에 10대 그룹 회장 출신으로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된 허창수 GS 회장을 공식 추대하는 전경련의 정기총회가 열렸다. 회의가 끝난 뒤 허 회장은 정병철 상근 부회장을 대동하고 기자회견장에 나타나 취재진을 놀라게 했다. 자질 문제로 교체 가능성이 유력하게 점쳐졌던 정 부회장을 유임시키겠다는 의미였기 때문이다. . . 재계에서는 허 회장이 갈등과 물의를 빚어온 장본인인 정 부회장과 이 전무를 그대로 온존시킨 걸 지금도 의아해 하고 있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양철’에 대한 국민의 싸늘한 시선과 비판이 고조되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이를 모른 체 하고 있는 것 역시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재계 관계자는 “정 부회장은 허 회장과 같은 뿌리인 LG그룹 출신 인사여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다른 그룹에서 부회장이 나올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다. 무엇보다 정 부회장의 독선적 태도와 소통부재는 치명적인 결격 사유라는 재계의 여론이 높았기 때문에 교체는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고 분석했다. GS그룹 등 재계에 따르면 허 회장은 취임 전후 여러 경로를 통해 정 부회장의 결함에 관련된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허 회장을 비롯 전경련 회장단에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재계는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한발 더 나아가 허 회장의 리더십이 크게 부족한 게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미 사태 해결의 답이 나와 있는데 도대체 왜 머뭇거리고 있냐는 시각이다. 4대 그룹의 한 고위 임원은 “사람을 바꾸는 것은 전경련 회장이 해야 할 일”이라며 “이번 사태는 회장이 나서서 직접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진단했다. 이처럼 허 회장이 수수방관하자 재계 일각에서는 ‘양철’이 추대를 도운 뒤 허 회장과 회장단을 마음대로 주무르고 있다는 설이 나오고 있다. 만약 이런 상황을 그대로 놔둘 경우 허 회장 등 회장단의 지도력과 위신이 급속히 훼손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전경련에 정통한 복수의 관계자는 사무국, 즉 ‘양철’이 허 회장 추대 과정에서 깊숙이 개입, 연임을 약속 받았다는 ‘기획옹립’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했다. 사무국이 재계 서열 1위인 삼성 이건희 회장의 전경련 회장직 수락 가능성을 내세워 다른 회장들의 지원 의사를 꺾은 뒤 입맛에 맞는 허 회장을 회장으로 적극 밀었다는 게 추측의 골자다. 이들은 근거로 지난 11월18일 서울 쉐라톤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전경련 회장단 회의 직후 정 부회장이 “7월에 이건희 삼성 회장을 추대했을 때 이 회장이 3~5개월 정도 시간 갖자고 해서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밝힌 점을 들었다. 삼성은 즉각 정 부회장의 발표가 이 회장의 실제 발언과 다르다며 정면 부인했다. 그러나 정 부회장은 이 회장의 판단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지난해 7월 조석래 전 회장의 와병으로 공석이 된 전경련 회장 추대작업은 해를 넘겨 시작됐다. 정 부회장과 이 전무는 회장단의 그룹 총수들을 개별적으로 만나 회장직을 권하거나 추천과 동의를 받는 ‘추대작업’을 독점하는 위치에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를 악용, ‘양철’이 허 회장을 발벗고 지원해 자리보전을 약속 받았다는 것이 항간의 추축을 낳게 한 배경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정 부회장과 이 전무는 홍보실을 통해 “말도 안되는 얘기”라며 “회장단의 의견을 수렴해 허 회장을 추대하게 된 것이지 사무국이 개입하지도, 할 수도 없다”고 반박했다. 또 “허 회장은 지난 2월17일 열린 회장 추대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회장으로 추대됐으며,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회장들도 환영 의사를 표시했다”며 투명하게 추대절차를 밟았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재계 일각에서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는 까닭은 전경련 사무국이 과거 회장 추대 과정에서 특정 인사를 밀었다가 들통이 난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2007년 2월27일 이준용 대림 회장은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임시 총회에서 신상발언을 자청, “70세 이상 먹은 사람은 회장직을 쳐다보지도 말라”며 사무국의 지원으로 3연임을 거의 확정 지었던 강신호 당시 회장을 낙마시켰다. 그는 이어 한달 뒤인 3월20일 “전경련 회장 선출과 관련된 잡음이 전경련에 큰 상처를 남겼다”며 “소임의 한계를 모르고 무분별한 발언으로 혼선을 야기한 사무국이 책임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조건호 당시 상근 부회장과 하동만 전무 등 사무국을 강도 높게 질책했다. 결국 강 회장은 퇴진했고, 31대 회장이 된 조석래 효성 회장은 취임에 앞서 맨 먼저 조 부회장과 하 전무를 쳐 냈다. 사실 여부를 떠나 기획옹립 음모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이유는 또 있다. 4대 그룹 등 주요 그룹의 방치 내지는 무책임이 ‘사무국이 회장단을 좌지우지하고 있다’는 인식을 확산시키고 있다는 점이 바로 그 것. 삼성, 현대차, LG 등 주요 그룹 총수들이 너도나도 전경련 회장직을 회피하고, 사무국 참여나 감시를 하지 않고 있는 탓이란 지적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주요 그룹들이 전경련의 이름을 앞세워 그룹 이익에 필요한 대정부 건의나 입법 의견을 제출하고, 국회를 상대로 로비를 시키는 데만 관심이 있을 뿐 정작 사무국의 개혁에는 ‘나몰라라’하고 있다“면서 “차제에 주요 그룹들이 적극 나서 사무국 개혁을 주도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